본문 바로가기
[주식 종목 분석] [국내, 미국]

[545] 두산에너빌리티, 2Q25부터 수익성 반등 시작될까?

by 정치, 사회, 방송, 연예 실시간 이슈 포스팅 2025. 5. 4.


두산에너빌리티, 2Q25부터 수익성 반등 시작될까?

K-원전·가스터빈·SMR 주기기 수주 본격화로 실적 회복 기대

두산에너빌리티가 2025년 1분기에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지만, 본격적인 수주 확대와 원자력·가스터빈 사업의 성장 기대감에 따라 중장기 반등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대신증권은 해당 리포트에서 두산에너빌리티의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38,000원으로 상향 조정했습니다(상승여력 31.3%).

1. 2025년 1분기 실적 리뷰: 예상치 하회

구분  1Q25 YoY QoQ  컨센서스
매출액(십억원) 3,749 -8.5% -18.3% 3,924
영업이익(십억원) 142 -60.2% -39.4% 254
순이익(십억원) -69 적전 적지 86
  • 1Q25 매출액은 3.75조원(-8.5% YoY), 영업이익은 1,425억원(-60.2% YoY)으로 컨센서스를 하회.
  • 에너빌리티 부문 영업이익은 -14억원으로 적자 전환.
  • 부진의 원인은 석탄 및 해수담수화 프로젝트 종료와 관련 비용 증가.

 

2. 2Q25부터 실적 개선 본격화

 

두산에너빌리티는 2025년 가이던스로 매출 6.5조원, 영업이익 3,732억원(영업이익률 5.8%)을 제시했습니다. 대신증권은 다소 보수적으로 **매출액 6.53조원, 영업이익 3,277억원(+34.5% YoY), 영업이익률 5.0%**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수익성 개선의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 2Q25 이후부터 주요 공사 정산 완료에 따라 이익률 회복 예상
  • 해외 가스터빈 시장 진출 가속화
  • SMR(소형모듈원자로) 수주 본격화

 

3. 가스터빈 및 원자력 중심의 대형 수주 전망

구분 수주금액 전망 (조원)
체코 원전(2기) 2.5~3.0
미국 가스터빈 0.6
SMR 주기기 및 소재 0.5
  • 미국향 가스터빈 수주: 중서부 지역 2.5GW급 데이터센터 5기 및 남부 2GW급 3기와 관련해 논의 중.
  • K-가스터빈 경쟁력 부각: 2013년 H-Class 가스터빈 개발 성공, 2023년 이후 국내 5기 수주 이력.
  • SMR 기대감 확대: NuScale의 77MW 모듈이 7월 인허가 완료 시 미국 유틸리티와 계약 본격화 예상.

 

4. 중장기 실적 및 수주 전망

 

구분 2024  2025F 2026F
에너빌리티 수주금액(십억원) 7,135 12,056 11,479
에너빌리티 매출액 7,367 6,527 7,066
에너빌리티 영업이익 244 328 424
수주잔고 15,888 21,534 25,946

특히, 기자재 및 서비스 매출 비중이 2024년 24.4%에서 2030년 49.3%까지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이는 수익성 제고로 연결될 전망입니다.

 

5. Valuation 및 투자 매력

  • 목표주가 38,000원, 상승여력 31.3%
  • 2030년 예상 EBITDA 1.38조원, EV/EBITDA 18배 적용
  • 주요 자회사 가치 포함 (두산밥캣, 두산퓨얼셀 등)
항목 금액(십억원)  비고
영업가치 23,810 에너빌리티 기준
지분가치 3,115 밥캣, 퓨어셀 등 포함
기업가치 26,925 합산
순차입금 2,869 차감
주주가치 24,056 최종 가치
목표주가 38,000원 현재가 28,950원 기준

 

결론: 수주 회복과 구조적 성장 기대

 

두산에너빌리티는 단기 실적 부진을 뒤로 하고, K-원전 및 가스터빈, SMR 중심의 글로벌 수주 확대에 힘입어 중장기 실적 턴어라운드가 기대됩니다. 특히 미국·체코 등에서의 대형 프로젝트 수주 가능성은 향후 기업가치의 상향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자회사 밥캣과 퓨어셀 등도 실적 안정성과 성장 모멘텀을 동시에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입니다.


#두산에너빌리티 #K원전 #SMR수혜주 #가스터빈수출 #에너지플랜트 #체코원전수주 #NuScaleSMR #두산주가전망 #두산밥캣 #두산퓨얼셀 #2025년실적전망 #전력플랜트 #수소발전기술 #에너빌리티반등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