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장리츠5

[92] SK리츠 분석 및 전망 SK리츠(SK REIT) 투자 현황 및 분석 (2024년 11월 기준)SK리츠는 한국리츠협회의 투자자 간담회에서 발표한 IR 자료(2024.11.28)를 바탕으로, 현재 운영 현황과 투자 성과에 대한 상세 정보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SK리츠는 국내 리츠 중 최대 규모로, 안정적인 배당수익과 성장 잠재력을 갖춘 투자처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SK리츠 SnapshotSK리츠의 현재 주요 지표를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구분내용비고운용 자산규모4조 2천억원국내 리츠 중 최대 규모보유자산122개오피스 3개, 주유소 114개, 수처리센터 5개시가총액1.4조 원국내 리츠 중 최초 1조 돌파지분율SK(주) 32.1%, 주요기관 34.9%, 외국인 8.7%주요기관은 1% 이상 주주기업신용등급AA-국내 리츠 중.. 2025. 3. 7.
[91] 신한알파리츠 분석 및 전망 신한알파리츠(293940) 투자 분석: 국내 대표 오피스 리츠의 잠재력대신증권이 신한알파리츠에 대해 투자의견 'BUY'와 목표주가 7,200원을 제시했습니다. 현재 주가 5,760원 대비 25.0%의 상승 여력이 있으며, 2025년 예상 배당수익률은 6.0% 수준입니다. 신한알파리츠는 주요 권역에 3.1조 원 규모의 11개 오피스를 보유한 국내 대표 오피스 리츠로, 안정적인 수익과 성장성을 갖추고 있습니다.회사 개요신한알파리츠는 2018년 8월 판교 소재 그레이츠판교를 기초자산으로 상장한 오피스 리츠입니다. 상장 이후 5번의 유상증자와 레버리지를 활용하여 현재 CBD(중심업무지구), GBD(강남업무지구), BBD(판교업무지구) 소재 11개의 오피스 자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AUM: 3.1조 원(감정평가액.. 2025. 3. 6.
[90] 제이알글로벌리츠 분석 및 전망 제이알글로벌리츠(JR Global REIT) - 한국 최초의 글로벌 부동산 투자회사 회사 개요구분주요내용REITs 명㈜제이알글로벌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제이알글로벌리츠")회사유형투자회사, 부동산, 펀드형, 다위형자산관리회사제이알투자운용㈜("제이알AMC")상장일2020년 8월 7일 (KOSPI, 종목코드: 348950)납입자본금약 9,657억원(자본금 약 1,973억원/주당 액면가 1,000원)발행주식수197,376,000주총자산약 1조 842억원(별도)/약 2조 271억원(연결)(2022년 12월 31일 재무제표 기준)시가총액약 8,171억원(2023년 9월 15일 종가 4,140원 기준)투자 구조제이알글로벌리츠(母리츠)는 구리츠 주식에 투자하고 구리츠는 해외 부동산 또는 해외 부동산을 기초자산으로 하.. 2025. 3. 6.
[84] 국내 리츠로 월 배당 100만원 만들기 1. K-REITs 월 배당 포트폴리오 개요리츠(REITs)는 배당 결산월이 1월부터 12월까지 고르게 분포되어 있고, 임대료 기반으로 배당금을 지급하여 안정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필요로 하는 연금 계좌 투자에 매우 적합합니다.포트폴리오 구성 종목총 8개 리츠 종목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는 배당 안정성 측면에서 기초 자산의 섹터 업황 및 펀더멘탈이 우수한 종목 위주로 선별하였습니다.종목명시가총액주가2025E DPS배당수익률맥쿼리인프라5.4조 원11,180원760원6.8%SK리츠1.4조 원5,130원264원5.2%ESR켄달스퀘어리츠1.1조 원4,920원276원5.6%롯데리츠1.0조 원3,520원240원6.9%신한알파리츠7,340억 원6,070원346원5.7%한화리츠6,582억 원3.. 2025. 3. 4.
[85] 2025년 국내 상장 리츠 시장 전망 Outlook 2025년 리츠 시장 전망: 금리 인하 사이클과 부동산 시장 변화금리 인하 사이클이 시작됨에 따라 2025년 리츠 시장은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할 것으로 보입니다.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외 정책 불확실성과 환율 불안 등 경제 환경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리츠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금리는 속도의 차이가 있을 뿐 인하 사이클은 이미 시작되었으며 2025년에도 지속될 전망입니다.금리 인하가 리츠 시장에 미치는 영향금리 인하의 파급 효과는 크게 두 가지 경로로 진행됩니다:자본 조달 비용 하락(Capital Cost Easing)   금융 비용 하락에 따른 NOI(순영업수익) 성장   배당가능현금흐름 개선으로 부동산 자산 매력 증가거래 활성화(Pivotal Shift)   역 레버리지.. 2025. 3.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