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전지] [자율주행] [로봇]11 [484] 포스코퓨처엠 2025년 1분기 실적 분석, 오르막길 초입이기를 포스코퓨처엠(003670) 2025년 1분기 실적 분석 및 향후 전망 1. 2025년 1분기 실적 분석 1) 실적 개요구분1Q25PQoQ YoY매출액 (십억원)845+16.9%-25.8%영업이익 (십억원)17흑전-54.6%영업이익률 (OPM, %)2.0%+7.7%p-1.3%p지배주주순이익 (십억원)49흑전-18.5%주요 분석매출은 전분기 대비 16.9% 증가했으나 전년 동기 대비 25.8% 감소.영업이익은 컨센서스 59억 원을 크게 상회(191.5%)하며 흑자 전환.지배주주 순이익 또한 흑자 전환하며 안정적인 흐름 복귀. 2) 실적 개선 요인양극재 출하량: GM 및 LG에너지솔루션향 출하량이 증가하며 전분기 대비 +30% 확대.음극재 출하량: 비중국계 수요 확대 영향으로 판매 증가.ASP(평균판매단가):.. 2025. 4. 26. [310] 포스코퓨처엠, 양극재 저점 통과와 천연흑연 가치 재조명…2025년이 전환점 **포스코퓨처엠(003670)**이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 기업으로서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한동안 이어졌던 양극재 수요 부진이 점차 해소되는 가운데, 미국의 對중국 제재로 인해 천연흑연 사업이 새로운 성장축으로 부각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2025년은 실적 회복과 가치 재평가의 원년이 될 전망입니다. 1. 양극재, 저점 지났다…하반기부터 본격 회복 포스코퓨처엠의 양극재 사업은 2024년 하반기까지 물량과 마진의 이중 압박을 겪었습니다. 하지만 2025년 1분기 실적은 전년 대비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분기 대비 큰 폭의 회복세를 보이며 저점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됩니다.1Q25 매출액: 8,553억원 (+18.3% QoQ)1Q25 영업이익: 162억원 (전분기 적자에서 흑자 전환)양극재 매출: 457.6억.. 2025. 4. 10. [307] 삼성SDI 지난 25년간 있었던 3번의 저점 바닥 분석 삼성SDI 저점 매수 기회? 지금이 담을 타이밍일까 투자 포인트 요약주가 부진 원인: 일시적 실적 둔화 + 원형 배터리 부진회복 신호: 전장·ESS 중심의 견조한 성장세 유지중장기 기대 요인: 유럽 완성차 고객 확대, 고부가 제품 전환현재 주가 위치: 고점 대비 약 30% 하락 최근 주가 흐름과 저점 신호 삼성SDI 주가는 최근 몇 개월간 실적 둔화 우려로 고점 대비 약 30% 하락했습니다. 특히 원형 배터리 부문의 부진이 투자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구간주가흐름2023년 하반기70만원대 고점2024년 3월약 55만원대 (약 -20%)2024년 4월약 52만 원 초반 (단기 저점권)저점 매수 키워드: 삼성SDI 저점, 삼성SDI 매수 타이밍, 배터리주 반등, 삼성SDI 주가 전망 2024주가 .. 2025. 4. 10. [265] 현대모비스 상호 관세 영향은 낮고 이익 성장 모멘텀은 높아 1. 왜 ‘관세’가 다시 중요한가?2025년 미국 대선을 앞두고 트럼프 전 대통령의 복귀 가능성이 부상하며,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한 무역관세 리스크가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현대모비스는 북미 수출 비중이 높아 관세 변화가 실적에 미치는 영향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습니다.2. 현대모비스 북미 수출 구조 요약 구분수출금액(억달러)비고총 미국향 수출39억모듈 포함순수 부품 수출19억mark-up 구조 제외A/S 부품13억원화 약세 수혜 가능전동화/전장 부품6억고부가가치 중심한국산 제품14억대부분의 공급 원산지멕시코산 제품5억일부 조립 품목기본 가정 환율: 1,450원/달러 → 총 수출 5.7조원 규모3. 관세 시나리오별 손익 영향 비교▷ 시나리오별 관세율 및 손익 영향 시나리오한국산관세율멕시코산관세율예상관세.. 2025. 4. 3. [241] 2025년 미국 수입차 관세 영향 분석 GM·도요타·현대차의 영향은? 미국發 자동차 관세 이슈, 다시 부상2025년 4월 2일부터 미국이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면서 글로벌 완성차 업계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특히, GM, 도요타, 혼다 등 미국 내 수입 비중이 높은 업체는 수익성에 타격이 예상되며, 관세 부담을 소비자 가격으로 전가할 가능성도 높아졌습니다.관세 부과 배경 요약트럼프 대통령은 2024년 2월 수입차에 25%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하고, 3월 26일 행정명령에 서명4월 2일 시행, 4월 3일부터 모든 수입차에 적용기존 한미 FTA 0% 관세 혜택 무력화 가능성미국 내 판매 상위 18개 모델 기준, 관세 영향도 분석관세 영향이 큰 주요 완성차 업체 TOP 5 업체차종 수 미국 시장점유율(%) 현지 자급률(%) 추정 관세 부담(십억 $.. 2025. 4. 1. [235] 테슬라(TSLA)의 트럼프 미국 수입차 관세 25% 영향 분석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수입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상황에서 테슬라(TSLA)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내용입니다. 테슬라는 미국 내 100% 생산 체제를 갖추고 있어 관세 영향이 제한적이며, 오히려 경쟁사 대비 반사 이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관세 조치의 영향2025년 3월 26일(현지 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외국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으며, 이는 4월 2일부터 발효될 예정입니다. 이 조치는 테슬라보다 GM, Ford와 같은 레거시 자동차 제조업체에 더 큰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북미 생산 비중 비교GM: 37% (멕시코/캐나다 생산)Ford: 18% (멕시코/캐나다 생산)테슬라: 0% (100% 미국 생산)리비안: 0% (100% 미국 생산)테슬라의 생.. 2025. 3. 27.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