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81

[303] 세진중공업 주가 전망 및 투자 포인트_LPG 탱크가 이끈다 “LPG 탱크가 이끈다, 데크하우스와 자회사들이 뒷받침한다”세진중공업 기업 개요 세진중공업은 조선 기자재 전문업체로, LPG/LNG 운반선 탱크 제조, 데크하우스 및 자회사(일승, 동방선기)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의 중국 조선업 제재에 따른 한국 조선업 수혜 기대감 속에서 재조명 받고 있습니다. 실적 전망: 2027년까지 성장 담보구분202320242025E2026E2027E매출액 (억원)3,8503,5204,9006,0807,250영업이익 (억원)3403605808101,030영업이익률 (%)8.810.211.913.314.2EPS(원)3012006179311,226ROE (%)9.96.217.622.824.72025년은 ‘상저하고’ 실적 구간으로, 연간 기준 매출 +39.2%, 영.. 2025. 4. 10.
[302] HD현대건설기계 주가전망: 중동과 인도 수요 증가로 턴어라운드 기대 2025년 HD현대건설기계는 중동과 인도 시장에서의 수요 증가를 기반으로 실적 개선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 하반기부터 이어진 인도 인프라 수요 확대와 중동 건설장비 시장의 회복세가 2025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분석됩니다. 1. HD현대건설기계 기업 개요 및 투자포인트HD현대건설기계는 굴삭기, 휠로더, 지게차 등 다양한 건설기계를 제조 및 판매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주요 시장은 인도, 중동, 아시아권입니다. 주요 투자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중동 시장사우디아라비아 등 인프라 개발 수요 확대✅ 인도 시장총선 이후 인프라 투자 지속 전망✅ 가격 전략고환율 환경에 따른 판가 인상 효과✅ 공급망 개선중국 부품 의존도 감소 및 생산성 향상✅ 자회사 실적HD현대 인도법인의 매출 증가 2. 2025년.. 2025. 4. 10.
[301] 우리금융지주 2025년 1분기 실적 전망 및 배당 투자 포인트 우리금융지주 2025년 1분기 실적 분석 및 주주환원 전략 정리배당수익률 10%, 자사주 매입 본격화…주주환원 총력 2025년 1분기 실적 요약 우리금융지주는 2025년 1분기에 지배주주순이익 7,000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5.1% 감소, 시장 컨센서스 대비 -5.9% 하회하는 수준입니다.이익 감소의 주요인은 희망퇴직 관련 일회성 비용(약 1,700억 원)과 근로복지기금 출연(약 500억 원)이며, 연체율 상승에 따른 충당금 증가도 일부 영향을 미쳤습니다.구분1Q244Q241Q25YoY (%)QoQ (%)컨센서스 대비총영업수익2,549억2,448억2,670억+4.7%+9.1%-이자이익2,198억2,272억2,238억+1.8%-1.5%-판관비1,032억1,311억1,2.. 2025. 4. 10.
[299] 급락 후 증시 반등 시 주목해야 할 업종 및 유망 종목 정리 2025년 4월,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가 본격화되며 글로벌 교역 환경에 변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화투자증권의 리포트에 따르면, 이번 조치에도 불구하고 국내 증시는 반등 시도를 이어가고 있으며, 일부 업종에서는 오히려 기회가 발생할 수 있는 국면입니다. 이번 콘텐츠에서는 2025년 상반기 기준 주가가 과도하게 하락했으나, 수출 감소와 무관하거나 회복 기대가 큰 업종과 종목들을 중심으로 정리하였습니다. 특히 중간재 중심 업종은 수출 민감도가 낮고 대체 가능성이 적어 반등 시 주가 탄력이 강하게 나타날 수 있는 분야입니다. 1. 2025년 국내 증시: 반등의 가능성과 조건 한화투자증권은 KOSPI의 최근 하락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조치 발표 이후 수출 우려를 선반영한 결과라고 분석합니다. 실제로 .. 2025. 4. 10.
[300] 관세 충격에 따른 외환시장, 원달러 환율 영향 분석 트럼프 관세 정책과 무역 둔화 우려가 만든 환율 쇼크의 전말 2025년 4월, 외환시장은 **관세 충격(Tariff Shock)**에 휘청이고 있습니다. 특히 달러-원 환율이 1,487원까지 치솟으며 금융위기 수준을 넘어서는 급등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금리차에 따른 강달러가 아니라, 트럼프 행정부의 강경한 관세 정책이 촉발한 무역환경 악화와 직결된 흐름입니다. 관세 충격이 만든 환율 급등 메커니즘 1. 무역 통화의 약세: 원화는 왜 먼저 흔들렸나트럼프 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104% 관세 부과를 공언하면서, 글로벌 교역 위축 우려가 커졌습니다. 원화는 무역 민감도가 높은 통화로, 실제 글로벌 교역량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입니다.구분내용주요 이슈미중 무역 갈등 재점화원화 특성교역 의존도 높음.. 2025. 4. 9.
[298] 롯데케미칼, 생존을 넘어 재도약으로: 위기를 기회로 만든 구조조정 전략 롯데케미칼, 생존을 넘어 재도약으로: 위기를 기회로 만든 구조조정 전략 롯데케미칼, 왜 ‘생존’이 화두가 되었나?롯데케미칼은 최근 3년간 이어진 석유화학 업황의 침체로 막대한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위기에 봉착했습니다. 특히 2024년에는 -894억원의 영업손실, -1,711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하면서 회사의 미래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습니다.하지만 2025년부터는 회사의 체질 개선이 가시화되고 있으며, 생존을 위한 강력한 자산 매각과 재무 안정화 전략이 전개되고 있습니다. 롯데케미칼의 생존 전략 3가지 포인트 ① 총 1.6조원 규모의 비핵심 자산 매각매각 자산금액(억원)LCLA 지분6,600LCI 지분6,500LCPL 법인978일본 Resonac 지분2,750합계16,828억핵심이 아닌 자산을 과감히 매각하.. 2025. 4.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