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약] [바이오] [의료기기]

[536] 고영 검사장비 강자의 부활과 뇌수술용 로봇 미국행

by 정치, 사회, 방송, 연예 실시간 이슈 포스팅 2025. 5. 2.
반응형

 


고영, 검사장비 강자의 부활과 의료로봇 진출 가속화

3D SPI 매출 증가세 지속 및 뇌수술용 로봇의 미국 시장 진입


1. 기업 개요 및 투자 포인트

고영은 3D 납도포 검사기(SPI) 및 **3D 자동광학검사기(AOI)**를 주력 제품으로 하는 정밀 검사장비 전문 기업입니다. 전자·반도체 산업에 필수적인 검사 기술력을 기반으로 성장해 왔으며, 최근에는 AI 기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의료로봇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핵심 투자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 3D SPI 부문 3분기 연속 성장, 특히 미국·동남아에서 강세
  • AI+반도체 검사장비의료로봇으로 신사업 다변화
  • FDA 승인 뇌수술용 로봇, 미국 병원 설치로 글로벌 진출 본격화

2. 2025년 1분기 실적 리뷰

항목 1Q25  YoY QoQ
매출액 511억 원 -3.6% +0.8%
영업이익 32억 원 +46.2%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32억 원 -55.9% -70.3%
  • 3D SPI 매출은 26.2% 증가하며 고성장 유지
  • 미국(+27.2%), 동남아시아(+16.1%) 지역이 수출을 견인
  • 서버, IoT 기기 수요 증가로 전방산업 다변화 효과 발생

 

3. 제품별/국가별 매출 동향

 

제품별 매출 구성 (1Q25 기준)

제품   매출액(억원) YoY 비중
3D SPI 200 +26.2% 39.2%
3D AOI 243 -16.2% 47.5%
기타 68 -16.7% 13.3%

국가별 매출 구성 (1Q25 기준)

국가 매출액(억원) YoY  비중
미국 129 +27.2% 25.2%
중국 149 -0.4% 29.1%
동남아 139 +16.1% 27.1%
한국 45 -24.0% 8.7%
유럽 41 -51.4% 8.0%
일본 10 -45.3% 1.9%

 

4. 2025년 2분기 및 중장기 전망

 

  • 2Q25 예상 매출: 559억 원 (+6.6% YoY)
  • 2Q25 예상 영업이익: 52억 원 (+63.4% YoY)

성장동력

  • AI 기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실적 본격화
  • 반도체 검사장비 수요 증가
  • 뇌수술용 의료로봇: 1월 FDA 승인 → 5월 美 병원 설치 → 7월 日 PMDA 인증 기대 → 10월 中 NMPA 신청 예정

 

5. 주가 및 밸류에이션

EPS(원) 407
PER(배) 33.9
ROE(%) 8.8
배당수익률(%) 1.0
목표주가 21,000원
현 주가(04/30 기준) 13,800원

현재 주가는 목표주가 대비 약 52%의 업사이드가 존재합니다. 뇌수술용 로봇의 본격적인 글로벌 시장 진입이 가시화되면서 추가적인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가능성이 있습니다.


 

6. 주요 재무지표 추이 (2024~2026E)

 

구분 2024E 2025E 2026E
매출액(억원) 2,025 2,275 2,593
영업이익(억원) 33 218 303
순이익(억원) 210 279 311
영업이익률(%) 1.6 9.6 11.7
순이익률(%) 10.4 12.3 12.0

 

7. 동종 업계 Peer 대비 경쟁력

기업명 국가 PER(25F) PBR(25F) EV/EBITDA(25F) ROE(25F)

기업명 국가 PER(25F)  EV/EBITDA
(25F) 
고영 한국 33.9 24.7
FANUC 일본 40.8 21.3
OMRON 일본 21.9 13.4
Intuitive Surgical 미국 58.0 12.2

→ 고영은 글로벌 기업 대비 ROE는 준수하나, PER은 다소 높게 형성됨. 의료로봇 실적 가시화 시 멀티플 부담 완화 가능


 

결론: 구조적 성장과 글로벌 진출의 교차점

 

고영은 전통적인 검사장비 기업에서 AI와 의료기기 중심의 헬스테크 기업으로 진화 중입니다. 단기 실적 개선과 중장기 뇌수술용 로봇의 미국/일본/중국 진출이라는 모멘텀이 맞물려 업사이드가 충분한 종목입니다.

투자자 입장에서 현 시점은 저평가 구간으로 판단되며, 목표주가 21,000원을 기준으로 한 비중확대 전략이 유효해 보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