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약] [바이오] [의료기기]

[507] HK이노엔 2025년 1분기 실적 리뷰 및 전망: 미국 진출 본격화

by 정치, 사회, 방송, 연예 실시간 이슈 포스팅 2025. 4. 29.
반응형

 

 

HK이노엔(195940) 2025년 1분기 실적 리뷰 및 전망: 미국 진출 본격화

1. HK이노엔 2025년 1분기 실적 요약

HK이노엔은 2025년 1분기에 다음과 같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구분 실적 (1Q25)  동기 대비(YoY) 비고
매출액 2,474억원 +16.3% 컨센서스 부합
영업이익 254억원 +47.0% 영업이익률 10.3%
순이익 미기재 - -

주요 사업별 실적

  • ETC(전문의약품) 부문 매출: 2,259억원 (+17.6% YoY)
  • K-CAB(케이캡) 국내 매출: 436억원 (-13.7% YoY), 처방액은 514억원 (+13.7% YoY)
  • K-CAB 완제품 수출: 39억원 (+196.1% YoY)
  • 중국 로열티 수익: 20억원
  • 수액제 부문 매출: 335억원 (+20.8% YoY)
  • 항암제 부문 매출: 217억원 (+96.8% YoY)

의료 파업 영향에도 불구하고 수액제와 항암제 부문이 고성장하며 실적을 견인했습니다.


2. 미국 시장 진출 본격화

HK이노엔은 K-CAB(테고프라잔) 미국 진출을 가시화했습니다.

  • 파트너사 Sebela/Braintree는 미국 임상 3상 시험에서 EE(미란성 식도염)NERD(비미란성 식도염) 두 적응증 모두 주요 평가변수를 충족했습니다.
  • 2025년 4분기에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 절차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 미국 시장 출시 목표는 2026년 4분기로 설정되었습니다.
  • 기존 미국 승인 확률 75%를 90%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K-CAB 미국 가치 추정

Tegoprazan 미국 가치 약 3,473억원
성공 확률 조정 후 가치 약 3,473억원
2025년 말 예상 순차입금 약 268억원

3. 목표주가 및 투자 의견

LS증권은 HK이노엔에 대해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를 67,000원(기존 대비 +9.8%) 으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현재주가 41,150원 (2025.4.28 기준)
목표주가 67,000원
상승여력 +62.8%

 

Voquezna(경쟁약물) 독점권 만료 시나리오별 적정주가

독점권 만료 시점 K-CAB 미국 가치 적정주가
2030년 (기본 가정) 3,473억원 67,723원
2032년 (지연 가정) 4,470억원 71,241원
2028년 (조기 만료) 1,557억원 60,959원

6월 11일 경쟁 약물 독점권 만료 시점이 결정될 예정이며, 이에 따라 K-CAB의 시장 경쟁 기간이 좌우될 전망입니다.


 

4. HK이노엔 재무 및 밸류에이션

주요 재무지표

항목  2024년 2025년(E) 2026년(E)
매출액 8,971억원 10,039억원 10,739억원
영업이익 882억원 999억원 1,097억원
순이익 620억원 730억원 820억원
EPS(주당순이익) 2,219원 2,618원 2,943원
PER 18.5배 15.7배 14.0배
ROE 5.0% 5.7% 6.0%

수익성 지표

  • 영업이익률: 10.0% (2025년 예상)
  • EBITDA 마진: 17.4% (2025년 예상)
  • 당기순이익률: 7.2% (2025년 예상)

안정성 지표

  • 부채비율: 48.8% (2025년 예상)
  • 유동비율: 106.1% (2025년 예상)

 

5. 향후 전망 및 체크 포인트

 

  • 미국 FDA 승인 가능성: 허가 성공 시 미국 P-CAB 시장 조기 진입 가능성.
  • 유럽 파트너십 체결 기대: 미국 임상 데이터 기반으로 유럽 진출 가속화 가능성.
  • 경쟁약물 독점권 만료 여부: 6월 11일 결정 예정. 만료 시 시장 독점기간 연장 기대.
  • 중장기 성장성 강화: 수액제, 항암제 등 기존 포트폴리오의 안정적 성장과 신약 수익화가 중장기 성장을 견인할 전망.

정리

HK이노엔은 2025년 1분기에 안정적인 실적 성장과 함께 미국 시장 진출이라는 중요한 모멘텀을 확보했습니다. 향후 FDA 허가 및 유럽 진출 여부에 따라 추가적인 주가 상승 여력이 존재하며, 수액제·항암제 부문의 성장도 긍정적인 흐름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투자 포인트

  • 미국 시장 진출 가시화로 글로벌 성장성 확보
  • 기존 포트폴리오 안정성 강화
  • 목표주가 67,000원, 상승여력 +6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