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로노이(310210) 기업 분석: VRN11 임상 발표로 본 투자 포인트
기업 개요
종목명 | 보로노이(310210) |
주요사업 | 신약 개발 (특히 EGFR TKI 기반 항암제) |
주요 파이프라인 | VRN11, VRN07, VRN10 |
상장 시장 | 코스닥 |
시가총액 | 약 2,034억원 (2025년 4월 기준) |
주요주주 | 김현태 외 5인 (39.72%) |
외국인 지분율 | 5.81% |
VRN11: 기대 모은 AACR 2025 임상 1상 중간 결과
주요 임상 발표 요약
- 2025년 4월 AACR에서 14명 환자 데이터 발표
- 주요 관찰 결과:
- C797S 변이 환자에서 부분 관해(uPR) 확인
- 뇌전이 환자군에서 85.7% 질병통제율(DCR) 달성
- Grade 2 이상 부작용 0건, 뛰어난 안전성 확보
VRN11 용량별 임상 주요 결과
용량 | 환자 수 | 주요 관찰 결과 | 특징 |
10mg | 3명 | 별다른 유효성 없음 (SD 1건) | 매우 낮은 용량, 안전성 확인용 |
20mg | 3명 | 주로 T790M 변이, SD 관찰 | 저용량군 이질성 환자 대상 |
40mg | 3명 | PR(폐암 51% 감소, 뇌전이 완전 소실) 1건 | L858R+C797S+R776H 돌연변이 환자 |
80mg | 3명 | PR(폐암 31% 감소) 1건, 흉막 소실 | Exon19 Deletion 환자 |
160mg | 2명 | 투약 진행 중, 데이터 축적 단계 | 고용량 환자군 |
※ PR(Partial Response) = 부분 관해, SD(Stable Disease) = 안정병변
임상 데이터로 확인된 VRN11의 강점
1. 뛰어난 안전성 프로파일
- Grade 2 이상 약물 관련 부작용(TRAE) 0건
- 1등급(Grade 1) 경미 부작용만 소수 관찰
- 기존 EGFR TKI 대비 부작용 현저히 낮음
- 향후 병용요법 개발 시 경쟁력 강화 기대
2. C797S 변이 환자 대상 유효성 입증
- L858R+C797S 동반 환자에서 폐 51% 종양 크기 감소
- 뇌전이 소멸 확인 → BBB 투과성(뇌혈관 장벽 통과성) 뛰어남 입증
- C797S 변이 특화 적응증 개발 가능성 강화
3. 뇌전이 환자에서 높은 질병 통제율
- 뇌전이 동반 환자 7명 중 6명에서 질병 통제 (PR 1명, SD 5명)
- 낮은 용량(10mg) 투약 환자 1명만 PD(진행성 질환) 발생
- 향후 뇌전이 환자 특화 치료제로 포지셔닝 가능성
4. 종양 억제 기반 T790M 환자 대응
- VRN11은 T790M 변이를 직접 타겟하지 않지만
- T790M 환자 5명 중 4명에서 종양 크기 변화 없이 SD 유지
- 이질성 종양 억제 효과 입증
VRN11 향후 임상 일정 및 전략
보충 코호트 대상 | 80mg 이상 고용량 환자 모집 및 투약 |
목표 환자 수 | 약 25명 이상 (기 투약 포함) |
진행 상황 | 160mg 환자 투약 완료, 240~480mg 용량 확대 준비 |
2025년 목표 | 400~480mg까지 용량 증량 시험 완료 예정 |
2026년 계획 | 임상 2상(Phase 2) 개시 및 가속 승인 신청 예정 |
추가 발표 | 2025년 하반기 학회에서 중간 데이터 추가 공개 |
- 임상 2상에서는 C797S 변이 및 뇌전이 환자군을 중심으로 적응증 확장
- 병용요법(Bi-therapy) 개발도 적극 검토 중
보로노이 재무 및 Valuation 요약
구분 | 2024A | 2025F | 2026F |
매출액(억원) | 0 | 37 | 52 |
영업이익(억원) | -36 | -11 | -8 |
순이익(억원) | -33 | -9 | -7 |
EPS(원) | -1,818 | -469 | -392 |
PER(배) | -34.4 | -235.7 | -281.8 |
PBR(배) | 16.9 | 34.2 | 38.8 |
ROE(%) | -44.1 | -13.9 | -13.2 |
배당수익률(%) | 0.0 | 0.0 | 0.0 |
투자 의견 및 목표주가
현대차증권 | 220,000원 | 매수 |
유안타증권 | 240,000원 | 매수 |
- 현재 주가(2025년 4월 25일 기준): 110,600원
- 현대차증권 기준 상승여력: +98.9%
- 유안타증권 기준 상승여력: +117%
결론
보로노이는 이번 VRN11 임상 1상 중간 결과를 통해
- 높은 안전성,
- 특화된 유효성(C797S/뇌전이),
- 종양 억제 효과,
를 모두 입증하며, 향후 성장 가능성을 명확히 보여줬습니다.
특히 C797S 변이 및 뇌전이 환자군 대상 치료제 개발이 가시화되면서
2025~2026년 임상 2상 진입과
가속 승인 가능성에 따라 기업가치 재평가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반응형
'[제약] [바이오] [의료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507] HK이노엔 2025년 1분기 실적 리뷰 및 전망: 미국 진출 본격화 (0) | 2025.04.29 |
---|---|
[506] 유바이오로직스 분석: 콜레라 백신 독점 공급업체, 실적 고성장 본격화 (2) | 2025.04.28 |
[504] HK이노엔 2025년 1분기 실적 리뷰: 매출·이익 모두 견조한 성장 (1) | 2025.04.28 |
[483] 보령 실적 전망 카나브패밀리, 케이캡, 당뇨 치료제 (1) | 2025.04.26 |
[466] 케이캡, 글로벌 시장 진출 본격화…HK이노엔의 신성장동력 되나? (0)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