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리프팅 의료기기·바이오 업종 핵심 6종목 완전 분석
비올 · 원텍 · 휴젤 · 메디톡스 · 클래시스 · 파마리서치 실적과 수출 확장성 중심 정리
국내 리프팅 의료기기 및 바이오 산업은 팬데믹 이후 ‘K-뷰티’의 글로벌 위상이 높아지며 중국, 미국, 동남아 시장에서의 수출 확대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의료관광 수요 회복과 소모품 비중 확대가 결합되면서 안정적인 이익률을 확보한 업체들이 시장을 리딩하고 있습니다. 2025년 4월 분석에 따르면, 다음 6개 종목이 글로벌 확장성과 이익 성장성 측면에서 압도적인 주도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6대 기업 핵심 비교
기업 | 매출성장률 (2025E) |
영업이익률 (2025E) |
핵심 실적 동력 |
비올 | +17.9% | 57.0% | 실펌X 장비·소모품 성장, 합의금 반영 |
원텍 | +20.2% | 33.1% | 올리지오 수출 회복, 의료관광 수혜 |
휴젤 | +22.4% | 48.7% | 레티보 美 출시, 필러 내수 증가 |
메디 톡스 |
+13.9% | 16.7% | 수출 재개, 판관비 정상화 |
클래 시스 |
+43.7% | 48.3% | 소모품 판매 호조, 유럽 진출 모멘텀 |
파마 리서치 |
+30.0% | 37.5% | 리쥬란 수출 호조, 북유럽 진출 계획 |
2025년 예상 주요 재무지표 (단위: 억원, 배)
항목 | 비올 | 원텍 | 휴젤 | 메디 톡스 |
클래 시스 |
파마 리서치 |
매출액 | 686 | 1,386 | 4,565 | 2,605 | 3,492 | 4,551 |
영업 이익 |
391 | 459 | 2,204 | 435 | 1,687 | 1,708 |
순이익 | 361 | 370 | 1,715 | 375 | 1,407 | 1,411 |
PER(배) | 12.8 | 20.5 | 25.2 | 29.6 | 29.6 | 27.0 |
PBR(배) | 3.7 | 4.8 | 4.4 | 2.5 | 7.2 | 6.3 |
비올(335890) – 소모품 비중 확대로 안정적 수익 구조
- 2025년 예상 매출 686억원(+17.9%), 영업이익 391억원
- 1Q25 매출은 139억으로 컨센서스를 하회했지만, 기술이전 합의금 이연에 따른 일시적 요인
- 의료기기 매출 +38.9%QoQ, 소모품 +60.2%YoY 증가로 본업 성장 가속
- 중국향 실펌X 장비 판매 확대 + 듀오타이트 등 신제품 출시 모멘텀 확보
- 중국, 사우디, 러시아 등 수출국 다변화 + 소모품 안정성이 주가 상승 여력 확보에 기여
원텍(336570) – 실적 기저효과 + 수출 회복 = 고성장 트리거
- 2025년 예상 매출 1,386억원(+20.2%), 영업이익 459억원
- 1분기 실적은 매출 317억, 영업이익 112억원으로 전년비 +69.2% 성장
- 올리지오 X 장비가 태국·브라질 중심으로 수출 회복세
- 소모품 매출도 내국인 시술 증가로 꾸준한 성장세 유지
- 의료관광 활성화로 국내 시술 수요 동반 증가
- 2024년 투자의견을 Hold에서 Buy로 상향 조정, 반등 흐름에 대한 신뢰 확보
휴젤(145020) – 美 수출 본격화, 국내외 필러·톡신 수요 호조
- 2025년 매출 4,565억원(+22.4%), 영업이익 2,204억원
- 2분기부터 미국향 레티보 수출 본격화(유통사: 베네브)
- 톡신 수출: 2Q25 475억(+89.4%QoQ), 전체 실적 이끈 핵심
- 필러 내수: 가격 인상에도 불구하고 수요 유지, 시술량 증가
- 화장품 브랜드 웰라쥬 미국 코스트코 입점 등 화장품 부문 성장도 견조
- EPS 14,696원 기준 PER 30배 적용해 목표주가 440,000원 상향
메디톡스(086900) – 수출 재개와 3공장 가동률 상승이 포인트
- 2025년 예상 매출 2,605억원(+13.9%), 영업이익 435억원
- 1Q25 흑자전환, 영업이익 60억으로 판관비 감소 효과
- 수출 지연됐던 물량 1분기부터 해소, 2분기 수출 전면 재개
- 페루·태국 등 추가 수출국 확보
- 제3공장 가동률 상승 시 고마진 제품 믹스 기대
- EPS 6,132원 기준 Target PER 30.9배 적용 → 목표주가 190,000원
클래시스(214150) – 글로벌 확장성과 소모품 중심의 안정성 겸비
- 2025년 예상 매출 3,492억원(+43.7%), 영업이익 1,687억원
- 1분기 소모품 매출 319억(+18.1%QoQ), 전체 매출의 절반 이상
- 유럽 CE MDR 인증 완료 시 하반기 유럽향 매출 확대
- 일본 체인 클리닉 계약 체결 추진 중
- 이루다 유통사 문제는 일부 제한 요인이나 클래시스 본체 실적 성장세 지속
- EPS 2,295원 기준 Target PER 32.5배 → 목표주가 75,000원
파마리서치(214450) – 리쥬란 매출 호조, 화장품 수출까지 확대
- 2025년 매출 4,551억원(+30.0%), 영업이익 1,708억원
- 1Q25 매출 1,063억원, 영업이익 411억원으로 컨센서스 상회
- 의료기기(리쥬란) 내수 +65.5%, 수출도 +57.1% 급증
- 인바운드 수요 폭증 + 리쥬란 글로벌 브랜드화 진행 중
- 화장품 부문도 동남아 → 북유럽으로 시장 확대 계획
- ‘콘쥬란’ 재투여 제한 소송 집행정지 결정으로 매출 유지 확보
- EPS 13,427원 기준 PER 30.5배 → 목표주가 410,000원으로 상향
투자 전략
- 소모품 비중 증가 = 이익률 안정화
- 수출 확장성 확보 기업 = 레버리지 기반 고성장 가능
- 글로벌 시장 공략력이 실적 상단을 결정지을 핵심 요인
- 리프팅 의료기기/바이오의 핵심 테마주로 장기적 관심 필요
반응형
'[제약] [바이오] [의료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456] 피앤에스미캐닉스 재활 로봇 시장의 강자, 글로벌 진출로 성장 가속화 (0) | 2025.04.24 |
---|---|
[447] 유나이티드제약 분석 꾸준한 성장과 주주환원 전략 (3) | 2025.04.23 |
[418] 에스티팜 2025년 1분기 실적 저점 통과, 2분기부터 본격 반등 예상 (0) | 2025.04.21 |
[408] 바이오플러스, 필러 수출 급성장과 신공장 모멘텀 주목 (0) | 2025.04.19 |
[383] 넥스트바이오메디컬-하반기 지혈재 수출 증가 기대 (0)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