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약] [바이오] [의료기기]

[383] 넥스트바이오메디컬-하반기 지혈재 수출 증가 기대

by 실시간 유료 증권사 리포트 포스팅 2025. 4. 17.

넥스트바이오메디컬, 수출 성장 본격화…글로벌 시장 확대가 투자 핵심 

 

1. 글로벌 수출 확대가 이끄는 넥스트바이오메디컬의 성장

넥스트바이오메디컬은 2024년 기준 매출의 92.9%를 해외 수출에 의존하는 글로벌 수출형 의료기기 기업입니다. 특히, **내시경용 지혈재 ‘Nexpowder™’**를 중심으로 미국, 유럽, 일본, 중동 등지로의 수출 확대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향후 3년간 빠른 실적 성장이 기대됩니다.

 

주요 수출 제품 내시경용 지혈재 Nexpowder™, 혈관색전 미립구 Nexsphere/F
2024년 수출 비중 92.9%
주요 파트너 미국 Medtronic, 일본 CMI
2025년 예상 수출 지역 미국, 유럽, 일본, 남미, 중동 등
2025년 1분기 수출 예상 32억 원 (+52.4% YoY)

 

2. 수출 성장 모멘텀 ①: 내시경 지혈재 Nexpowder™

 

미국 메드트로닉(Medtronic)을 통한 본격적 수출 가속화

  • 미국 내 대장 내시경용 지혈재 적응증에 대해 메드트로닉이 2025년 5월 **국제 소화기학회(DDW)**에서 발표 예정
  • 이후 미국 전역을 중심으로 수출 본격 확대 기대
  • 기존 공급분 재구매율 약 80% 수준으로 재구매 기반 확보
미국 공급가 약 230달러
미국 판매가 약 750달러
관세 영향 없음 (메드트로닉 부담)

 

일본 시장 진입 가속화

 

  • 2025년 2월 일본 PMDA 승인 완료
  • CMI사와 유통 계약 체결 → 2025년 4분기부터 매출 발생 기대
  • 9월 보험등재 예정, 이후 처방 본격화

 

3. 수출 성장 모멘텀 ②: Nexsphere-F (통증치료용 혈관색전 미립구)

 

Nexsphere-F는 자궁근종뿐 아니라 관절염 통증치료제로도 개발 중인 고부가가치 제품입니다. 특히 FDA 승인 후 미국 내 임상이 2025년 중 개시되며, 2027년 미국 시판이 목표입니다.

미국 FDA 임상 승인 (IDE) 2024년 확보
미국 임상 개시 2025년 6~7월 예정
유럽 임상 시판 후 임상 중 (자궁근종)
일본 판권 계약 2025년 내 체결 목표
미국 시판 시점 2027년 예정

 

4. 2025년 분기별 매출 전망: 수출 증가에 따른 고속 성장

 

구분 1Q25E 2Q25E 3Q25E 4Q25E
총 매출 (억원) 39 44 65 76
YoY 성장률 +64.5% +59.8% +196.6% +241.3%
  • 2025년 연매출 224억 원 예상 (2024년 대비 +134.7%)
  • 특히 3Q~4Q부터 미국, 일본 수출 급증 본격 반영

 

5. 제품별 수출 매출 추이

 

제품군 2024 2025E 성장 포인트
내시경 지혈재 수출 80억 187억 미국 DDW 발표, 일본 보험등재
혈관색전 미립구 수출 4억 10억 자궁근종 중심 유럽 판매
Nexsphere-F 수출 5억 8억 통증치료 적응증, FDA 임상 본격화

 

6. 중장기 해외 시장 확대 전략

 

미국 중심 글로벌 유통망 확대

  • 메드트로닉과 협업 통한 미국 진출은 이미 궤도에 진입
  • 남미, 중동 지역에서도 2025년 내 품목 승인 가능성
  • 2026년 미국 소화기학회 가이드라인 등재 목표로 임상 진행 중

 

관절염 통증치료용 신시장 개척

  • Nexsphere-F의 **미국 승인 및 상용화(2027)**는 블루오션 시장 진입
  • 글로벌 의료기기 유통사들과 판권 계약 협상 진행 중

 

결론: 넥스트바이오메디컬, ‘수출’로 증명할 고성장 스토리

 

  • 수출 주도형 고성장 기업으로 자리매김
  • 미국, 일본, 유럽을 거점으로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 공략 가속화
  • 2025년 매출 224억 원, 2027년 이후 흑자 전환과 본격적인 이익 창출 가능
  • 신제품 임상과 시장 진입이 이어지는 장기 성장 모멘텀 풍부

넥스트바이오메디컬은 단기적 매출 확대뿐 아니라, 글로벌 의료기기 강소기업으로의 성장 스토리를 보여주는 대표 수출기업입니다. 수출 기반의 성장에 주목하는 투자자라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관심을 가져볼 만한 기업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