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개요 및 비즈니스 모델
레뷰코퍼레이션은 2014년 설립된 국내 1위 인플루언서 마케팅 플랫폼 기업으로, 국내 시장 점유율 66%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주요 서비스 |
REVU | 나노/마이크로 인플루언서 플랫폼 |
레뷰셀렉트 | 매크로/메가 인플루언서 연계 |
숏뜨(자회사) | 숏폼 콘텐츠 제작 및 커머스 연계 |
레뷰글로벌 | 글로벌 마케팅 대행 플랫폼 |
총 146만 명의 인플루언서를 확보하고 있으며, 누적 캠페인 데이터는 104만 건에 달합니다.
핵심 성장 전략: 숏폼+커머스의 시너지
- 숏폼 콘텐츠 소비 증가: 2024년 국내 온라인 사용자 53.2%가 ‘15초 이내 짧은 영상’을 가장 많이 소비
- 숏폼 + 커머스 융합: 틱톡샵, 유튜브 쇼핑 기능 등 SNS 기반 커머스 확산 → 기업은 숏폼 광고로 제품 판매 극대화 가능
- 팬덤 기반 소비구조: 단순한 가격 경쟁력이 아닌 ‘팬심’ 기반 구매로 고마진 가능
2024년 실적 하이라이트
- 연결 매출액: 489억 원 (+23.0% YoY)
- 영업이익: 75억 원 (+77.3% YoY, OPM 15.3%)
- 숏뜨(자회사): 매출 163억 원(+181.0%), 영업이익 26억 원(+198.9%)
→ 숏뜨 인수(2023년 8월)는 경기 둔화 속 탁월한 실적 방어 전략으로 평가
2025년 투자 포인트
숏뜨 실적 온기 반영 | 숏폼 시장 고성장세에 따른 외형 확대 기대 |
중국 소비 회복 수혜 | 무비자 입국 허용 및 한한령 해제 기대감 |
샤오홍슈 등 중국 SNS 확산 | 중국 관광객 대상 마케팅 수요 증가 가능성 |
AI 기반 기술력 보유 | 콘텐츠 자동화, 효율적 캠페인 운용 역량 확보 |
주가 및 밸류에이션 현황 (2024년 4월 8일 기준)
주가 | 2,334원 |
시가총액 | 1,170억 원 |
52주 최고/최저 | 14,590원 / 7,340원 |
PER (2024E) | 20.2배 |
EV/EBITDA (2024E) | 8.5배 |
외국인 지분율 | 0.8% |
부문별 매출 비중 (2024년)
레뷰서비스 | 52.7% |
레뷰셀렉트 | 2.2% |
숏뜨 | 18.7% |
기타 | 26.4% |
요약 재무 실적 (2020~2024)
구분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매출액 (억원) | 17 | 23 | 31 | 40 | 49 |
영업이익 (억원) | -1 | 2 | 4 | 4 | 7 |
순이익 (억원) | -1 | 0 | 6 | 3 | 7 |
ROE (%) | -6.2 | 4.1 | 31.4 | 10.6 | 13.0 |
PER (배) | - | 0.0 | 0.0 | 41.7 | 20.2 |
투자자 관점 정리
- 단기 모멘텀: 중국 소비 회복과 숏폼 온기 실적
- 중장기 성장성: 숏폼+커머스 융합 구조, AI 기술 기반의 경쟁력
- 리스크 요인: SME 광고시장 둔화, 최대주주 지분매각 이슈
키워드 태그
레뷰코퍼레이션 주가, 인플루언서 마케팅 기업, 숏폼 커머스, 숏뜨 실적, SNS 마케팅, 중국 소비주, 샤오홍슈 관련주, AI 마케팅 플랫폼, REVU 플랫폼, 숏폼광고 수혜주
반응형
'[주식 종목 분석] [국내, 미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341] 조선업 탄소세 MEPC 83차 회의 이후 친환경 선박 발주 가속화 (0) | 2025.04.14 |
---|---|
[339] 펌텍코리아 1Q 무난, 2Q 본게임 시작! 성장 본격화 (5) | 2025.04.14 |
[337] 솔브레인 분석: 감산 국면에서 모멘텀을 찾다 (0) | 2025.04.13 |
[322] WGBI 편입 지연이 보험사 수급 매수 강도에 줄 변화 (2) | 2025.04.13 |
[334] AJ네트웍스 기업 분석 : 로봇렌탈 확장과 배당 매력 부각 (1) | 2025.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