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감산 이후 실적 반등 기대, 소재 공급망 내 핵심 플레이어
2025년 4월 SK증권 리포트 기반 분석
투자 포인트 요약
반도체 감산 | 메모리 업체 감산 기조 지속, 상반기 수요 위축 예상 |
실적 모멘텀 | 하반기 NAND 세대 전환 및 공정 미세화로 실적 반등 기대 |
소재 경쟁력 | 인산계·초산계 식각액 공급으로 고단수 NAND 투자 수혜 |
저평가 매력 | PER 9.9배, PBR 1.1배로 역사적 저점 수준 |
감산 기조 속 솔브레인의 현재 위치
2024년 하반기부터 이어진 메모리 업체들의 감산 기조는 2025년 상반기까지도 지속 중입니다. 이로 인해 고객사들의 가동률 회복이 제한적이며, 솔브레인의 단기 실적에도 하방 압력이 존재합니다.
- 1Q25 매출액: 2,002억 원 (전년 대비 -5.0%)
- 1Q25 영업이익: 360억 원 (전년 대비 -21.7%)
➤ SK증권은 단기 트리거가 부재한 가운데, 연간 실적에 대해서도 보수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하반기, 모멘텀 회복 가능성은?
감산으로 인한 공급 조절이 지속되면서, 시장 재고 수준은 점진적으로 감소 중입니다. 이에 따라 하반기부터는 가동률 회복 및 수요 반등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실적 모멘텀 근거
- NAND 고단화 트렌드 가속화
- 삼성전자, 키옥시아 등 글로벌 플레이어들이 400단 이상(V10) 세대 전환에 속도.
- 이는 정밀 식각 공정 강화 → 인산계 식각액 수요 증가로 연결됨.
- 솔브레인의 제품 경쟁력
- 인산계 식각액: 고단수 NAND에서 핵심. 시장 내 점유율 높음.
- 초산계 식각액: 고객사의 3나노 로직 공정에서 유일한 대응 공급사.
➤ 미세화 및 세대 전환이라는 기술적 트렌드에 맞춰 실적 회복 모멘텀 보유.
연간 실적 추이 및 전망
구분 | 2023 | 2024 | 2025E | 2026E |
매출액(십억원) | 844 | 863 | 838 | 942 |
영업이익(십억원) | 133 | 168 | 164 | 189 |
영업이익률(%) | 15.8 | 19.5 | 19.5 | 20.0 |
순이익(십억원) | 130 | 118 | 131 | 150 |
➤ 2025년은 상저하고 흐름이 예상되며, 하반기부터 실적 반등세가 본격화될 가능성.
밸류에이션 및 주가 매력
EPS (원) | 16,863 |
PER (배) | 9.9 |
PBR (배) | 1.1 |
목표주가 | 240,000원 |
현재주가 | 167,000원 |
상승여력 | +44% |
➤ 업황 둔화 국면임에도 PER 10배 미만으로 저평가, 실적 회복이 반영될 경우 주가 리레이팅 가능.
결론: 감산 이후를 선점할 수 있는 기회
- 단기적으로는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하나, 세대 전환과 미세화 수요 증가로 실적 회복 가능성 높음.
- 2025년 하반기 모멘텀에 선제 대응하는 전략 유효.
- 저평가 구간 진입 + 강한 제품 경쟁력 + 시장 점유율 확대 가능성이 복합적으로 작용.
반응형
'[주식 종목 분석] [국내, 미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339] 펌텍코리아 1Q 무난, 2Q 본게임 시작! 성장 본격화 (5) | 2025.04.14 |
---|---|
[332] 레뷰코퍼레이션 분석: 숏폼·커머스 융합 인플루언서 마케팅 대표주자 (0) | 2025.04.13 |
[322] WGBI 편입 지연이 보험사 수급 매수 강도에 줄 변화 (1) | 2025.04.13 |
[334] AJ네트웍스 기업 분석 : 로봇렌탈 확장과 배당 매력 부각 (1) | 2025.04.13 |
[336] 한화 주주환원 전략 분석: 자사주 + 배당 + 증여 효과 주목 (0) | 2025.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