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요약
- 트럼프 정부 행정명령으로 미국 항만 입항 시 중국산 선박에 입항료(port fee) 부과 가능성 대두
- 한국 조선사는 반사 수혜 가능… 특히 HD현대미포조선 수혜 클 듯
- 입항료 부과 기준은 선박의 순 톤수 또는 중국산 비율 기준으로 차등적용
- 상선 슬롯 증설 필요성 대두 → 한국 조선소 수주 확대 기대
배경: 미국의 중국 견제, 입항료로 조선업 타격 예고
2025년 4월 9일, 트럼프 전 대통령은 '해양 지배력 재건' 행정명령에 서명하였습니다. 이 명령은 중국 조선업체의 반경쟁적 활동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중국산 선박에 대해 미국 항만 입항 시 고율의 입항료 부과가 핵심입니다.
- 무역법 301조를 활용해 불공정 행위로 간주한 점에서 관세적 조치와 유사한 형태
- 미국산 선박 운항 시 입항료 최대 100만 달러 감면 등의 인센티브도 포함
예상 입항료 부과 구조 요약
조건 | 최대 입항료 부과금 |
중국 국적 선박 | $1,000,000/척 또는 $1,000/톤 |
비중국 선사의 중국산 선박 운항 | $1,500,000/척 |
선대 내 중국산 선박 비중 25% 미만 | $500,000/척 |
선대 내 중국산 선박 비중 25~50% | $750,000/척 |
선대 내 중국산 선박 비중 50% 이상 | $1,000,000/척 |
미국산 선박 운항 시 감면 혜택 | 최대 $1,000,000/척 |
자료: 미국 무역대표부(USTR), 한국투자증권
산업 영향 분석: 한국 조선업 반사 수혜 가능
중국 야드의 기피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한국 조선사로 발주가 집중될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특히 **낮은 선가의 상선 수요(탱커, 컨테이너, PCC 등)**가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른 슬롯 증설도 논의 중입니다.
수혜 가능 기업: HD현대미포조선
HD현대미포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가장 유망한 수혜기업으로 평가받습니다.
- 입항료 대상이 되는 소형 선박 위주의 주력 선종 보유
- HD현대베트남조선소의 건조 CAPA 증설 진행 중
- 고정비 부담이 낮고 원가경쟁력 확보
주요 조선사별 투자 지표 (2025F 기준)
기업PER(x) | PER(x) | PBR(x) | EV/EBITDA(x) | 배당수익률 |
HD현대미포조선 | 23.5 | 2.3 | 16.1 | 1.7% |
HD한국조선해양 | 7.9 | 1.2 | 6.1 | 4.0% |
삼성중공업 | 35.9 | 2.3 | 14.1 | 0.0% |
한화오션 | 36.7 | 4.1 | 26.9 | 0.0% |
HD현대중공업 | 36.6 | 4.8 | 20.4 | 1.1% |
자료: 한국투자증권, 2025년 추정치 기준
결론 및 투자 포인트
- 입항료 부과는 실제 시행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
- 중국 회피 수요로 인해 한국 조선소의 수주 증대 기대
- HD현대미포조선은 선박 크기 및 대응 능력 측면에서 가장 큰 수혜
- 미국향 수주가 증가할 경우, 장기적으로 글로벌 조선업 지형 변화 예상
검색 키워드 추천
입항료 부과 조치, 조선주 수혜, HD현대미포조선, 중국산 선박 제재, 미국 트럼프 행정명령, 조선업 주가 전망, 상선 슬롯 증설, 삼성중공업 전망, 한화오션, HD한국조선해양, 선박 입항료 구조, 2025 조선 산업
반응형
'[조선주] [방산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343] 2025년 4월 조선업 동향: 신조선가·중고선가·운임 모두 반등 (1) | 2025.04.14 |
---|---|
[340] 한화오션-1Q25 Preview: 예상치 큰 폭 상회 전망 (0) | 2025.04.14 |
[319]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재건 수혜주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0) | 2025.04.12 |
[316] HD한국조선해양, 조선사 5개 + 엔진사 2개 구조가 만드는 투자 기회 (1) | 2025.04.11 |
[321] 팬오션 밸류에이션 저점, 턴어라운드 기대 높아져 (0)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