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주] [방산주]

[264] 성광벤드 NDR 후기_미국 관세 리스크에도 빛나는 수주 모멘텀

by 실시간 유료 증권사 리포트 포스팅 2025. 4. 3.

성광벤드, 미국 관세 리스크에도 빛나는 수주 모멘텀

**성광벤드(014620)**는 글로벌 에너지 인프라 확대 속에서 피팅(Fitting) 제품의 강점을 바탕으로 성장 중인 대표적인 기업입니다. 특히 최근에는 미국향 수출에서의 관세 이슈 대응 전략으로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관세 이슈와 성광벤드의 대응 전략

2025년 성광벤드는 **미국 수출 비중 약 40%**로 북미 시장 내 강력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미국 내 철강 관세가 적용되더라도, 한국산 철강 가격이 여전히 경쟁력 있다는 점과 거래처와의 협의로 관세를 제품 가격에 전가하기로 확정하면서 관세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해소했습니다.

 

관세 대응 전략 요약

관세 부담 여부 있음 (철강 관세 존재)
대응 방안 미국 거래처와 협의하여 관세를 가격에 전가
기대 효과 매출 감소 요인 제거, 장기적 수익성 유지
향후 계약 반영 여부 관세 전가 조건이 향후 계약에도 지속 적용

이러한 대응 전략은 단기적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장기적으로 미국 LNG 프로젝트 수주 확대와 연계된 안정적인 실적 성장 기반을 마련해줍니다.


수요 산업 확대 및 수주 모멘텀

2025년 성광벤드는 원전, FLNG(부유식 액화천연가스), 미국 LNG 터미널 중심의 고부가 제품 수주 확대가 기대됩니다. 주요 프로젝트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사우디 자푸라(Jafurah) Phase 2, 파딜리(Fadhili)
  • 미국 CP2 LNG, 알래스카 LNG
  • 이집트 및 체코 원전 수주 기대
  • 베트남 Vin그룹의 LNG 발전소 개발

실적 전망: 관세 리스크 해소 후 성장 가속화

아래는 성광벤드의 2024~2026년 실적 추정치입니다.

성광벤드 실적 전망 (K-IFRS 연결 기준)

구분 2023 2024 2025F 2026F
매출액 (십억원) 255 228 266 302
영업이익 (십억원) 45 42 59 81
순이익 (십억원) 39 41 55 73
영업이익률 (%) 17.6 18.4 22.1 26.7
주당순이익(EPS, 원) 1,370 1,437 1,963 2,603
ROE (%) 8.0 8.0 10.0 11.9

2025년 EPS는 전년 대비 약 37% 성장이 예상되며, 이는 관세 이슈 해소 및 고부가 수주 확대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를 반영합니다.


투자 포인트 요약

  1. 관세 리스크 해소 → 가격 전가로 수익성 유지
  2. 미국 LNG 수출 증가 → 수요 증가에 따른 수주 확대
  3. 신규 프로젝트 다수 → 고부가 피팅 제품 수주 확대
  4. 글로벌 원전·에너지 투자 증가 → 장기 성장성 확보

결론: 관세도 막지 못하는 피팅 강자, 성광벤드

관세 부담은 글로벌 수출 기업들에게 중요한 리스크지만, 성광벤드는 탄탄한 원가 경쟁력과 거래처 협상력을 통해 이를 효과적으로 대응했습니다. 에너지 인프라 투자 확대 속에서 고부가 제품 수주 확대, 미국 시장 점유율 1위 수준 유지, 원전·LNG 프로젝트 연계 수혜 등 다수의 투자 포인트를 가진 기업입니다.

관세를 넘는 피팅 강자, 성광벤드에 주목할 시점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