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주] [방산주]

[260] 2025년 1분기 조선업 리뷰: 수주 감소 본격화, 실적은 '기대 이하

by 실시간 유료 증권사 리포트 포스팅 2025. 4. 3.

2025년 1분기 조선업은 글로벌 수주 감소와 실적 부진이라는 이중고에 직면했습니다. 특히 수주 감소는 한국 조선사들의 실적과 주가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시장 기대치는 하향 조정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조선 수주 동향: 수치로 본 하락세

 

구분 2024년 1분기 2025년 1분기  분기 증감률
발주 척수 710척 234척 -67.0%
발주 CGT 1,632만 CGT 779만 CGT -52.2%
클락슨 신조선가 지수 198.0pt (2024년 말) 187.4pt -5.4%
  • 해석: 글로벌 발주량 감소는 대형선사의 발주 연기와 일부 고부가선종 가격 조정 영향. 한국 조선소들도 예외 없이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HD현대중공업을 제외한 대다수 조선사는 계획 대비 25% 수준의 수주 성과에 그쳤습니다.

기업별 실적 분석 및 세부 수주 현황

 

HD현대미포 (010620) – 저선가 수주 영향으로 더딘 수익성 회복

항목 수치 YOY 비고
매출액 1조 1,556억원 +15.5% 양호한 외형 성장
영업이익 408억원 흑자전환 저선가 수주로 수익성 압박
영업이익률 3.5% +4.6%p 소폭 개선됐지만 기대치 하회
  • 수주 상황: 1분기 수주는 3.7억 달러(18K LNG 벙커링선 4척)로 부진. 작년 동기 대비 85.5% 감소.
  • 수주잔고: 83.7억 달러로 감소했으나, 향후 30개월치 매출을 감당할 수준.
  • 전망: 2분기까지 실적 개선 제한적. 하지만 3분기부터는 고선가 MR Tanker, Ro-Ro선 인도 본격화로 수익성 반등 기대.

 

HD현대중공업 (329180) – 수주 호조 지속, 실적은 컨센서스 하회

항목 수치  YOY 비고
매출액 3조 6,191억원 +21.1% 높은 외형 성장
영업이익 2,170억원 +920.5% 실적 자체는 우수하나 기대치 하회
영업이익률 6.0% +5.3%p 분기별로 점진적 상승세 유지
  • 1분기 수주: 32.6억 달러 (LNG, LPG, 컨테이너선 포함). 연간 목표(97.5억 달러)의 33.4% 달성.
  • 수주잔고: 277.1억 달러. 약 3년치 안정적 조업물량 확보.
  • 전망: 연간 영업이익률은 7.4%까지 상승 가능. 해양플랜트 수주도 증가 추세.

 

HD한국조선해양 (009540) – 매출은 양호, 이익은 다소 부진

항목 수치 YOY 코멘트
매출액 6조 7,380억원 +22.2% 선가 인상 효과 반영
영업이익 4,735억원 +195.6% 컨센서스 대비 소폭 하회
영업이익률 7.0% +4.1%p 업계 최고 수준 유지
  • 수익성 요인: 후판 가격 하락과 건조선가 상승으로 이익률 개선 중.
  • 전망: 2분기 이후 실적 개선 지속 전망. 조선 3사 중 가장 안정적인 수익성 구조 확보.

 

삼성중공업 (010140) – 조용한 강자, 예측 부합 실적

항목 수치 YOY 비고
매출액 2조 5,265억원 +7.6% 완만한 성장세
영업이익 1,538억원 +97.6% 시장 예상치 부합
영업이익률 6.1% +2.8%p 꾸준한 수익성 개선 중
  • 수익성 요인: 해양플랜트 매출 증가, 인건비·원자재 안정화.
  • 전망: 연말까지 영업이익률 6.8% 전망. 실적 안정성과 수익성 성장의 균형점.

 

정리: 수주 절벽에도 ‘양극화’된 실적,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시점

기업 실적 평가 주가업사이드 핵심포인트
HD현대미포 기대 하회 부진 +22.9% 저선가 수주 영향, 3분기 반등 기대
HD현대중공업 양호 양호 +20.3% 3년치 일감 확보, 꾸준한 개선
HD한국조선해양 양호 중립 +37.6% 선가 인상 수혜, 구조적 안정성
삼성중공업 부합 양호 +21.0% 해양 매출 성장, 안정적 실적 흐름

 

결론: 수주 환경은 부정적이나, 개별기업 실적과 전략에 따라 기회는 열려 있다

  • 단기 리스크: 수주 공백, 저선가 물량 인도.
  • 중장기 기회: 선가 반등, 고부가선 중심 수주, 인력난 해소.
  • 투자 전략: 안정적 실적 선보이는 삼성중공업, 수주잔고와 수익성 개선 기대되는 HD현대중공업 중심 접근 필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