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종목 분석] [국내, 미국]

[252] 섬유 의복 의류 OEM 산업 트럼프 상호 관세 영향 심층 분석

by 실시간 유료 증권사 리포트 포스팅 2025. 4. 1.

 

 

미국 관세 인상, 섬유·의류 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전략

 

1. 최근 미국 관세 정책 변화

 

2025년 4월 발표된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는 글로벌 공급망과 수출입 구조에 커다란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특히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등 동남아시아 국가에 높은 관세가 부과되면서, 이 지역에 생산기지를 두고 있는 한국 패션 ODM(제조자개발생산) 업체들의 부담이 커진 상황입니다.

  • 미국은 중국, 베트남 등 주요 무역 적자국에 대한 규제 강화와 함께 지정학적 생산공동체를 타깃으로 설정하고 있음
  • 한국 ODM 업체들은 베트남 외에도 중미, 필리핀 등으로 생산 다변화를 진행 중

 

2. 주요 국가별 관세율 비교

 

관세 영향의 강도를 이해하기 위해 주요 수출국의 미국 상호관세율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국가명 관세율 비고
캄보디아 49% 중국 대체 생산기지로 활용
라오스 48% 중국 기업 생산기지 집중
베트남 46% 한국 ODM 진출 핵심 지역
방글라데시 37% 의류 OEM 주요 거점
태국 36% 동남아 중심 무역국
한국 (FTA) 25% FTA 적용에도 불구하고 부담 존재
중국 (전기차) 100% 기술 산업 집중 타격

자료: 신영증권, 2025년 4월 발표 기준


 

3. 관세가 패션 산업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 영향

  • 의류 단가는 낮지만, 마진이 얇은 산업 특성상 관세는 기업 수익성에 직접 타격
  • 미국 소비자의 연간 패션 지출은 약 4,055억 달러(약 588조 원)로 대부분 수입 제품에 의존

⦿ 기업 영향

  • ODM업체들의 수익성 훼손 가능성 존재
  • 다만, 생산기지 다변화글로벌 바이어 분산이 리스크 완화 요인으로 작용

 

4. ODM 패션기업들의 대응 전략

 

주요 기업 생산지 다변화 현황

 

기업명 주요 생산지 비중 특징
한세실업 베트남 39%, 과테말라·니카라과 39% 중미 지역 투자 확대 중
영원무역 베트남 26%, 방글라데시 61% 아웃도어 중심 바이어 다변화
화승엔터 베트남 47%, 인도네시아 45% 아디다스 위탁생산, 美 출고는 10% 수준
동인기연 필리핀 중심 생산 고급 백팩 제조, 여유 생산능력 보유

주요 ODM업체 투자지표

종목명 목표주가 25F PER 배당수익률 생산지 다변화
한세실업 28,000 4.1배 3.5% 중미 지역 확장
영원무역 75,000 4.6배 3.3% 아시아 전역
화승엔터 11,000 5.2배 0.5% 동남아 집중
동인기연 32,000 5.2배 3.4% 필리핀 중심

5. 결론: 공포보다 전략이 필요한 시점

 

미국 관세 인상은 단기적으로 섬유 및 의류 ODM업체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지만, 기업들의 생산지 다변화 전략과 수년간의 글로벌 공급망 관리 능력은 중장기적 리스크 완화 요인이 됩니다.

  • 관세 리스크는 이미 주가에 반영
  • 저가 매수 기회로 작용할 수 있는 국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