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내면세점 구조조정: 동대문점 철수로 수익성 개선
현대백화점은 기존 운영 중이던 시내면세점 2곳(무역점, 동대문점) 중 동대문점의 운영 종료를 결정했습니다.
이는 2024년 면세 부문 영업적자 289억 원 중 약 500억 원 규모의 시내점 손실 중 절반(250억 원)을 제거할 수 있는 전략적 조치입니다.
무역점 중심으로 국산 화장품, 패션, 명품 등 고수익 MD 강화에 나서면서 고정비 절감 효과도 기대되고 있습니다. 사측은 이를 통해 연간 약 350억 원의 고정비 절감을 전망하고 있으며, 이는 면세사업의 흑자 전환(BEP) 달성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운영 변경 | 시내면세점 2곳 → 1곳(무역점) |
동대문점 손실 | 연간 약 250억 원 |
고정비 절감 기대 | 연간 350억 원 |
면세 영업적자 축소 | 전체 289억 원 중 대부분 제거 전망 |
백화점 부문: 명품·워치·주얼리 판매 고성장
백화점 본업은 명품을 중심으로 안정적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워치/주얼리 분야는 1분기 기준 30% 이상 성장률을 기록하며 실적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2025년 1분기 기준 백화점 매출은 YoY +1% 성장이 예상되며, 고환율 환경에도 불구하고 명품 수요는 견고합니다.
2025년 실적 전망: 영업이익 30% 증가, 목표주가 상향
미래에셋증권은 현대백화점의 2025년 실적을 다음과 같이 전망했습니다:
구분 | 2024 | 2025 | YOY |
매출액 | 4조 1,880억 원 | 4조 2,240억 원 | +0.9% |
영업이익 | 2,840억 원 | 3,690억 원 | +30.0% |
순이익 | -360억 원 | 2,090억 원 | 흑자 전환 |
EPS | -1,543원 | 9,228원 | 흑전 |
이에 따라 목표주가도 기존 7만 원에서 8.5만 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으며, 현재 주가(59,300원) 기준 **상승 여력은 약 43.3%**로 평가됩니다.
사업 부문별 실적 전망 요약
사업부 | 2025F매출 | 비중 | 특징 |
백화점 | 2,501 | 약 59% | 명품, 워치/주얼리 호조 |
면세점 | 851 | 약 20% | 동대문점 철수, 효율화 진행 |
지누스 | 1,012 | 약 21% | 매출 성장 회복세 |
투자 매력도: 밸류에이션과 주주환원 확대
- 2025년 예상 PER은 6.4배로 유통업 평균(9배) 대비 저평가되어 있음
- 2025년 반기 배당 신설, 연간 배당수익률 3% 예상
- 실적 개선 + 저평가 + 주주환원 확대라는 3박자 갖춘 투자매력
결론: 구조조정 통한 수익성 회복… “매수 유효”
현대백화점은 시내면세 효율화와 백화점 명품 수요 확대라는 쌍두마차로 실적 개선이 기대됩니다.
2025년에는 실적 턴어라운드와 함께 배당 매력까지 부각될 수 있어 중장기 투자에 유망한 종목으로 평가됩니다.
반응형
'[주식 종목 분석] [국내, 미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266] 에이피알 주가 하락 요인 및 전망 : 글로벌 뷰티 플랫폼 성장동력 주목 (1) | 2025.04.03 |
---|---|
[256] 기업은행 분기배당 검토 2025년 1분기 실적 분석 및 투자 포인트 (2) | 2025.04.02 |
[252] 섬유 의복 의류 OEM 산업 트럼프 상호 관세 영향 심층 분석 (2) | 2025.04.01 |
[250] 기업은행 주가 전망 및 실적 분석 (2025년 1분기 실적 프리뷰) (1) | 2025.04.01 |
[249] 우리금융지주 2025년 1분기 실적 프리뷰: 높은 배당수익률과 적극적 주주환원정책에 주목 (0)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