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종목 분석] [국내, 미국]

[497] 실리콘투분석 : 유럽 중심 구조적 리레이팅 기대

by 실시간 유료 증권사 리포트 포스팅 2025. 4. 28.


실리콘투(257720) 분석: 유럽 중심 리레이팅 본격화

1. 실리콘투 투자 요약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49,000원 (기존 42,000원 대비 상향)
현재주가 (4/25 기준) 34,750원
상승여력 약 41%
시가총액 21,257억원
주요주주 김성운 외 16인
배당수익률 0.00% (2024 기준)

핵심 포인트

  • 2025~2026년 평균 EPS 기준 목표 PER을 17배 → 20배로 상향 조정
  • 유럽 중심 매출 비중 확대 및 고마진 구조 강화
  • 코스알엑스(CosRx) 의존도를 낮추고 복수 성장 브랜드 다변화 진행 중

 

2. 실리콘투 실적 및 밸류에이션 분석

연결 실적 추이

구분 2024 2025E 2026E
매출액(억원) 6,915 8,650 10,000
영업이익(억원) 1,376 1,760 2,060
당기순이익(억원) 1,207 1,490 1,750
영업이익률(%) 19.9% 20.3% 20.6%
PER(배) 14.5 14.3 12.1
ROE(%) 60.9% 44.0% 34.5%

주요 포인트 해설

  • 2024년 매출 2배 이상 성장 (YoY +101.7%)
  • 고마진 구조 정착으로 영업이익률 20%대 진입
  • 실적 레벨업에 따른 중장기 PER 디레이팅 가능성 존재

 

3. 글로벌 매출 포트폴리오 변화

2024년 지역별 매출 비중 변화

지역  2023   2024 증감(ppt)
미국(USA) 31.6% 22.1% -9.5
유럽(EU) 11.7% 17.1% +5.4
UAE 0% 5.7% +5.7
기타국가 26.2% 31.0% +4.8

세부 해석

  • 미국 시장: iHerb 내 K-뷰티 제품 수 감소, MOCRA 규제 영향으로 비중 감소
  • 유럽 시장: 폴란드 창고 확장, Boots 입점 등으로 매출 3.7배 성장
  • 중동(UAE): 유통 거점 확보 및 테스트 마케팅 본격화

특징:
실리콘투는 미국 의존도를 낮추고, 유럽 및 기타 지역으로 성장 축을 확장하고 있음.


 

4. 실리콘투 브랜드 포트폴리오 다변화

Top10 브랜드별 실리콘투 유통 비중 변화

브랜드  2023  2024 변화
조선미녀(Beauty of Joseon) 24.7% 24.0% -
아누아(Anua) 3.1% 11.2% +8.1
CosRX 13.7% 7.0% -6.7
라운드랩(Round Lab) 2.5% 4.5% +2.0
토코보(Tocobo) 2.6% 4.2% +1.6
티르티르(TIRTIR) 신규진입 3.6% 신규
넘버즈인(numbersin) 신규진입 2.3% 신규

브랜드 전략 해설

  • 코스알엑스 성장 둔화를 보완하기 위해 신규 고성장 브랜드로 포트폴리오 전환
  • 티르티르 인수 효과 본격 반영 시작
  • 아누아, 넘버즈인 등 신흥 브랜드의 빠른 성장

 

5. 미국 vs 유럽: 시장 전략 비교

 

구분 미국 시장  유럽 시장
주요 채널 iHerb 중심 Boots, 로컬 리테일러 중심
성장성 둔화 성장 가속
진입장벽 MOCRA로 강화 다국어 및 유통 복잡성
수익성 낮음 (플랫폼 수수료) 높음 (B2B 중심, 리테일 직접공급)
전략 브랜드 선별, 구조조정 창고 확장, 현지 마케팅

핵심 요약

  • 미국은 구조조정 국면, 유럽은 확장 및 점유율 확대 국면
  • Boots 등 현지 메이저 리테일러와 협업을 통해 브랜드 노출 강화

 

6. iHerb와 MOCRA 이슈 상세

 

  • 2024년 7월부터 MOCRA 시행으로 K-뷰티 제품 수 18.5% 감소
  • 화장품 등록 의무 강화, 성분 규제 강화로 일부 제품 시장 퇴출
  • 조선미녀, 코스알엑스 등 주요 브랜드는 여전히 iHerb Top12 내 잔존

의미:
규제 대응 역량에 따라 생존 브랜드와 도태 브랜드 간 격차가 벌어지는 환경이 조성됨.


 

7. 결론: 실리콘투 투자전략 요약

 

구조적 리레이팅 근거

  • 유럽 매출 중심 구조 전환 (고성장, 고수익성 시장)
  • 복수 고성장 브랜드 발굴 및 유통 플랫폼 강화
  • 미국 규제 리스크에도 선별적 브랜드 중심으로 안정적 매출 유지 가능성

향후 투자 리스크

  • 조선미녀 등 특정 브랜드 비중 집중 리스크
  • 미국 시장 회복 속도에 대한 불확실성

최종 투자 판단

  • 현재 주가는 구조적 성장성 대비 저평가 상태
  • 목표주가 49,000원, 상승여력 41%로 매수 관점 유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