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리츠코크렙(088260)은 최근 시장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투자 매력이 존재하는 리테일 중심 리츠(REITs)입니다. KB증권은 2025년 3월 기준으로 이리츠코크렙에 대해 ‘Buy(매수)’ 의견과 목표주가 5,700원을 제시하며, 리츠 투자자들에게 다시 한 번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리츠코크렙 핵심 투자 포인트
구분 | 내용 |
투자의견 | Buy (매수) |
목표주가 | 5,700원 (기존 대비 12.3% 하향) |
현재주가 | 4,305원 (2025.3.28 기준) |
예상 배당수익률 | 2025년 7.9%, 2026년 8.1% |
DPS(주당 배당금) | 2025년 338원, 2026년 350원 |
1. 주가 하방경직성: 토지 기반 가치에 주목
서울/수도권 역세권에 위치한 5개 기초 자산의 실물 가치는 상장 이후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며, 2021년 기준 감정평가액은 최초 취득가 대비 20% 이상 증가했습니다. 이는 부동산 리츠의 안정성을 입증하는 지표입니다.
2. 리파이낸싱 이후 금리 수혜 기대
2023년 5월 리파이낸싱을 통해 CD+1.70%의 변동금리 조건을 확보했으며, 향후 금리 인하 시 배당 여력 증가가 기대됩니다. 2026년부터는 중도상환 수수료 없이 재조달이 가능하다는 점도 긍정적입니다.
3. 과거 유상증자 이슈, 이미 반영된 주가
2023년 10월 강남 e스퀘어 편입을 위한 유상증자 시도는 백지화되었지만, 이미 주가에는 해당 이슈가 반영되어 있으며, 현재는 높은 배당수익률을 제공하는 저평가 국면으로 진입한 상태입니다.
실적 전망 및 배당 분석
구분 | 2023 | 2024 | 2025E | 2026E |
영업수익(십억원) | 38 | 38 | 37 | 38 |
영업이익(십억원) | 31 | 30 | 30 | 31 |
순이익(십억원) | 22 | 16 | 17 | 19 |
EPS(원) | 348 | 259 | 273 | 295 |
DPS(원) | 404 | 362 | 338 | 350 |
배당수익률(%) | 8.3 | 8.8 | 7.9 | 8.1 |
이리츠코크렙은 2025년 예상 배당수익률이 약 7.9%로, 여전히 고배당 리츠로서 매력적인 수익 기회를 제공합니다.
밸류에이션과 목표주가 산정
항목 | 수치 |
CoE (자기자본비용) | 8.0% |
예상 DPS (12개월) | 341원 |
영구성장률 (g) | 2.1% |
목표주가 산정 방식 | 배당할인모형(DDM) |
목표주가 도달 시 PER / PBR | 20.9배 / 1.4배 |
글로벌 유사 리츠와 비교
기업 | 국가 | 시총 (억원) |
PER (2025E) |
PBR (2025E) |
배당수익률 (2025E) |
이리츠코크렙 | 한국 | 2,727 | 15.8배 | 1.0배 | 7.9% |
Boston Properties | 미국 | 12,756 | 28.9배 | 2.4배 | 5.8% |
Ascendas REIT | 싱가포르 | 9,889 | 17.5배 | 1.2배 | 5.7% |
Nippon Building Fund | 일본 | 8,052 | 23.7배 | N/A | 3.8% |
글로벌 리츠들과 비교해도 이리츠코크렙은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있고 고배당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투자 리스크 및 시나리오 분석
시나리오 | 주가예상 | DPS | 특징 |
Bull-case | 6,400원 | 380원 | 금리 급락 및 부동산 고가 매각 |
Base-case | 5,700원 | 341원 | 금리 완만한 하락, 자산가치 안정 |
Bear-case | 5,100원 | 300원 | 금리 상승, 부동산 가치 하락 |
결론 : 실물가치 기반의 고배당 리츠, 이리츠코크렙
이리츠코크렙은 리테일 리츠라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서울/수도권 우량 부동산 기반의 자산가치, 높은 배당수익률, 그리고 변동금리 수혜 가능성이라는 투자 포인트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과거 신뢰 이슈는 이미 주가에 반영되었으며, 현 주가에서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재평가 가능성이 높습니다.
'[상장리츠] 및 [고배당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9] 롯데리츠 투자 포인트 정리: 금리 하락 수혜와 그룹 시너지 기대 (3) | 2025.04.02 |
---|---|
[258] 디앤디플랫폼리츠, 수송스퀘어 편입과 포트폴리오 재편 가속화 (0) | 2025.04.02 |
[243] 이지스레지던스리츠: 금리 하락 수혜와 임대주택 성장의 중심 (0) | 2025.03.31 |
[201] 트럼프 2기 정책에 부합한 ETF 투자 전략 분석 (2) | 2025.03.26 |
[202] TDF ETF로 장기 자산배분: 은퇴를 위한 스마트한 투자 전략 (2)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