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약] [바이오] [의료기기]

[223] 듀켐바이오: 방사성 의약품 시장의 선두주자

by 정치, 사회, 방송, 연예 실시간 이슈 포스팅 2025. 3. 26.

듀켐바이오: 방사성 의약품 시장의 선두주자

 

핵심 요약

 

듀켐바이오(176750)는 암과 뇌질환을 타깃으로 하는 진단 및 치료용 방사성 의약품(RPT) 개발·제조 업체로, 국내 방사성 진단 의약품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알츠하이머성 치매 진단용 의약품 시장점유율 93%를 보유하고 있어, 고령화 사회에서 급증하는 알츠하이머 환자 진단 수요를 기반으로 한 고성장이 예상됩니다.

 

기업 개요

2002년 설립된 듀켐바이오는 2014년 코넥스 상장 후 2024년 12월 코스닥시장으로 이전 상장했습니다. 주요 제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암 진단: FDG (시장점유율 53.5%)
  • 파킨슨병 진단: FP-CIT (시장점유율 55.8%)
  • 알츠하이머성 치매 진단: 비자밀, 뉴라체크 (시장점유율 93%)
  • 뇌종양 진단: F-DOPA

2024년 연결 기준(잠정) 매출액은 356억원(+2.6% YoY), 영업이익 49억원(-5.6% YoY), 순이익 78억원(+96.8% YoY)입니다.

 

방사성 의약품 산업의 이해

방사성 의약품은 방사성 동위원소(Radioisotope)와 의약품(Carrier, 벡터)을 결합하여 제조한 특수의약품으로, 질병의 진단 및 치료에 사용됩니다.

 

방사성 동위원소 종류

구분종류반감기

진단 F-18 약 110분
  C-11 약 20분
  Ga-68 약 68분
  Tc-99m 약 6시간
치료 Lu-177 약 6.6일
  I-131 약 8일
  Ac-225 약 9.9일

글로벌 방사성 의약품 시장은 2023년부터 2033년까지 연평균 10.6% 성장이 예상되며, 아시아태평양 시장은 연평균 11.4%의 고성장이 전망됩니다.

투자 포인트

 

1. 알츠하이머 치료제 시장 확대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레켐비'의 국내 시장 침투에 따른 진단 수요 증가가 예상됩니다. 레켐비 처방을 위해서는 베타 아밀로이드의 침착 정도를 확인하는 PET-CT 진단이 필수적입니다. 국내 알츠하이머 치료제 투약 대상 환자는 2023년 기준 약 338만명(경도인지장애 환자 278만명, 초기 치매 환자 59만명)으로 추정됩니다.

또한 레켐비는 최초 진단부터 추적 관찰까지 최대 3회 이상의 진단이 필요하여, 방사성 진단 의약품 시장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2. 생산 캐파 확대 및 CDMO 구축 계획

  • 진단용 방사성 의약품: 현재 9만 도즈인 연간 생산능력을 2028년까지 21만 도즈로 확대 계획
  • 치료용 방사성 의약품 CDMO: 2027년과 2029년 각각 1만 도즈 생산시설 구축, 아시아 공급 허브로 도약 준비

 

3. 다양한 신약 파이프라인 구축

AI를 활용한 진단용 방사성 의약품 후보물질 탐색, 고형암과 전립선암 치료 기술 도입 등 진단 및 치료용 방사성 의약품 파이프라인 구축이 진행 중입니다.

 

리스크 요인

  1. 레켐비의 국내 시장 침투 속도와 건강보험 적용 여부가 중요합니다. 미국의 경우 레켐비의 연간 처방 비용은 2.65만 달러로 고가 치료제입니다.
  2. 방사성 동위원소 생산, 보관, 취급, 운송 등 제반 변수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방사성 의약품 시장 전망

국내 방사성 의약품 시장은 2023년부터 2033년까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특히 고령화 사회에서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 시장의 확대가 예상되며, 이는 듀켐바이오의 핵심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미지 표시

 

결론

듀켐바이오는 강력한 캐시카우인 방사성 진단 의약품을 기반으로 미래 성장동력을 키워나가고 있는 알짜 강소기업입니다. 알츠하이머 치료제 관련 진단 시장의 성장과 함께 치료용 방사성 의약품 CDMO 사업으로의 확장 등 중장기 성장 동력이 탄탄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