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오션 : 상선 사이클 장기화와 성장 스토리
투자 요약
NH투자증권은 한화오션에 대해 'Buy' 투자의견과 67,000원의 목표주가를 제시했습니다. 이는 기존 목표주가 52,000원에서 29% 상향된 것으로, 2025년 해양플랜트 수주 재개와 2026년 특수선 부문의 신규 수주 가능성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 목표주가 근거: 2027년 예상 주당순자산(BPS)에 Target PBR 3.0배를 적용
- 핵심 포인트: 상선 부문 실적이 기반이 되는 가운데, 해양 및 특수선 부문의 성장으로 2027년 이후에도 실적 상승세가 지속될 전망
주요 투자 포인트
1. 사업 부문별 전망
상선 부문:
- 4분기 추가적인 공정 지연 없음
- 수익성 개선 본격화 예상
- 2025년 57억 달러 수주 전망(LNG선 12척, 컨테이너선 8척, VLCC 5척)
특수선 부문:
- 2025년 미국 함정 MRO(유지보수) 수주(연간 4~5척)
- 2026년 해외 수출 프로젝트 수주 기대
- 2027년 예상 매출 1.8조원으로 확대
해양 부문:
- 중국 조선사 제재 가능성으로 한국 조선사들의 수주 기회 확대
- 해양 프로젝트 단가 상승으로 수익성 높은 프로젝트 수주 가능
- 2027년 예상 매출 1.5조원으로 확대
2. 실적 전망
구분20232024P2025E2026F2027F
매출액 | 7,408 | 10,776 | 11,884 | 13,010 | 14,285 |
영업이익 | -196 | 238 | 529 | 909 | 1,268 |
영업이익률 | -2.7% | 2.2% | 4.5% | 7.0% | 8.9% |
3. 4분기 실적 리뷰
한화오션의 2024년 4분기 실적은 시장 예상을 상회했습니다:
- 매출액: 3.25조원 (+45.8% y-y)
- 영업이익: 1,690억원 (흑전 y-y, 영업이익률 5.2%)
- 사업부별 영업이익: 상선 1,145억원, 해양 727억원
산업 전망
신조선가 동향
- 최근 신조선가는 고점 대비 소폭 하락세
- LNG선은 Spot 운임 약세로 가격 조정폭 큼
- 원화약세로 원화 기준 신조선가는 상승 추세 유지
중국 조선사 제재 영향
- 미국 정부의 중국 조선소 제재 가능성으로 한국 조선사에 기회 확대
- 제재 없이는 2021~2023년과 같은 신조선가 상승세는 어려울 것
- 구체적 제재가 없으면 제한적 선가 하락 가능성도 존재
투자 위험 요소
- 신조선가 하락
- 인력 부족에 따른 상선 건조 과정에서 공정 지연
- 해양플랜트 부문에서의 공사손실충당금 설정
- LNG선 발주량 감소
결론
NH투자증권은 한화오션에 대해 'Buy' 투자의견을 유지합니다. 상선 부문이 받쳐주는 가운데, 특수선 및 해양플랜트 등으로 실적 사이클이 2027년 이후로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가는 과거 밸류에이션 상단 수준까지 단기 급등했으나, 장기 매출 상단이 여전히 열려 있어 추가 상승 여력이 존재한다고 판단합니다.
반응형
'[조선주] [방산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0] 삼성중공업 : 더 큰 기회가 될 글로벌 LNG 시장 (0) | 2025.03.20 |
---|---|
[173] 미국 정책이 한국 조선/해운업계에 미치는 영향 분석 (1) | 2025.03.19 |
[177] 한화에어로스페이스 K9 자주포에 이어 천무 수주까지 (0) | 2025.03.19 |
[175] 조선기자재 산업 분석: 실적 성장과 트럼프 정책의 기대감 (0) | 2025.03.18 |
[172] 미 조선업 청문회와 CSIS의 'Ship Wars' 분석: 한국 조선업의 기회 (1)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