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책이 한국 조선/해운업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국의 최근 정책 변화가 한국 조선업과 해운업에 중요한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입니다. 상상인증권이 발표한 "조선/해운 - 든든한 뒷배와 함께" 보고서를 통해 주요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미 해군 준비태세 보장법: 한국 조선사 수혜 가능성
2025년 2월, 미국 공화당 소속 상원의원들이 "미 해군 준비태세 보장법"을 발의했습니다. 이 법안은 기존의 반스-톨레프슨법을 개정하여 미국 함정의 해외 조선소 건조를 가능하게 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해외 조선소 조건
- NATO 회원국 또는 미국과 상호 방위 조약을 체결한 인도-태평양 지역 국가에 위치
- 미국 내 건조보다 비용이 저렴해야 함
- 중국 기업이 소유/운영하거나 중국 본사 다국적 기업이 운영하지 않아야 함
이 법안이 통과될 경우, 한국 조선사들에게 약 1,660억 달러(약 220조원) 규모의 시장이 열릴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국 조선사 미 함정 수주 예상 규모
시나리오 | 점유율 | 수주 예상 규모 |
낙관적 시나리오 | 60% | 996억 달러 |
보수적 시나리오 | 20% | 332억 달러 |
미국의 중국산 선박 규제: 해운업 영향
2024년 2월 21일,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중국 해운사 및 중국산 선박에 대한 입항 수수료 부과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 중국 해운사 선박: 선박당 최대 100만 달러 수수료 부과
- 중국산 선박 보유 해운사: 선박당 최대 150만 달러 수수료 부과
글로벌 컨테이너 해운사별 중국산 선박 비중
해운사 | 선대 내 중국산 선박 비중 |
수주잔고 내 중국산 선박 비중 |
MSC | 16% | 99% |
Maersk | 3% | 53% |
CMA CGM | 39% | 51% |
하팍로이드 | 4% | 82% |
ONE | 0% | 57% |
HMM | 1% | 0% |
이 규제는 컨테이너 해운사들에게 평균 400만 달러의 비용 증가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아시아-미국 왕복 항해 매출의 약 20%에 해당합니다.
투자 전망: HD현대중공업과 HMM
HD현대중공업 (329180)
- 투자의견: BUY
- 목표주가: 420,000원 (현재가 대비 36.1% 상승여력)
- 특징: 특수선 사업부를 영위하며 해외 함정 수출 이력 보유
- 미 함정 사업가치: 4.4조원
HMM (011200)
- 투자의견: HOLD
- 목표주가: 23,000원 (현재가 대비 3.8% 상승여력)
- 특징: 수주잔고 내 중국산 선박 비중 0%로 규제 하에서 반사 수혜 기대
시장 전망
한국 조선업계는 미국 법안 통과와 중국산 선박 규제로 인해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HD현대중공업의 경우 미 함정 시장 접근 가능성으로 인해 Target Multiple을 15% 할증하여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했습니다.
LNG선 수주 전망에서도 트럼프 행정부의 LNG 생산 승인 재개로 인해 한국 조선사의 LNG선 수주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FEED 단계 LNG 프로젝트 중 미국 비중은 59%로, 한국 조선사에게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미국의 정책 변화는 한국 조선/해운업계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관련 기업들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조선주] [방산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6] 현대로템 주식 투자 분석: K전차의 성장 잠재력과 재무 전망 (2) | 2025.03.20 |
---|---|
[180] 삼성중공업 : 더 큰 기회가 될 글로벌 LNG 시장 (0) | 2025.03.20 |
[179] 한화오션 : 상선 사이클 장기화와 성장 스토리 (2) | 2025.03.19 |
[177] 한화에어로스페이스 K9 자주포에 이어 천무 수주까지 (0) | 2025.03.19 |
[175] 조선기자재 산업 분석: 실적 성장과 트럼프 정책의 기대감 (0)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