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기자재 산업 분석: 실적 성장과 트럼프 정책의 기대감
요약
이번 조선기자재 산업 분석 리포트는 기자재 업체들의 실적 성장 및 향후 Trump 행정부 정책에 따른 에너지, 조선 산업 수혜 전망을 다루고 있습니다. 주요 6개 기자재 기업의 4Q24 합산 실적은 매출액 9,394억원(+11% YoY), 영업이익 899억원(+71% YoY)으로 크게 성장했으며, 특히 보냉재와 엔진 관련 기업들의 성장이 두드러졌습니다.
4Q24 주요 기업별 성과
보냉재 부문
- 동성화인텍, 한국카본: 생산 안정화와 생산능력 증설 효과가 실적에 반영됨
- 평균 영업이익률 9.3%로 전년 대비 4.4%p 상승
- 수주단가 상승으로 2025년 연간 10% 이상 매출 성장 기대
엔진 부문
- 한화엔진, 세진중공업: 안정적 성장세 유지
- 한화엔진은 성과급, 서비스 재고 조정으로 영업이익 182억원 기록(컨센서스 202억원)
- 2025년에도 1.7조원 수준 수주 예상(2024년 수주 1.6조원, 매출 1.2조원)
피팅 부문
- 성광벤드, 태광: 미국 대선 불확실성 영향으로 주춤했으나 현재 회복 중
- 미국 LNG 수혜와 중동 발주 회복 전망
투자 의견 및 목표주가 변경
기업명 | 투자의견 | 신규 목표주가 |
변경률 | 변경 사유 |
한국카본 | 매수 | 19,000원 | +27% | LNG 시장 호황 반영 |
동성화인텍 | 매수 | 31,000원 | +82% | 멀티플 할인율 축소, 실적 상향 |
성광벤드 | 매수 | 30,000원 | +67% | LNG 시장 성장, 미국 비중 반영 |
한화엔진 | 매수 | 28,000원 | +40% | 엔진 부족과 그룹사 시너지 반영 |
태광 | 매수 | 28,000원 | 유지 | - |
세진중공업 | 매수 | 10,000원 | 유지 | - |
업종 전망
조선기자재 커버리지 6사의 합산 시가총액은 5.3조원으로 연초 대비 27% 증가했습니다. 이는 커버리지 조선 5사의 증가율 26%와 비슷한 수준이나, 조선사는 한화오션 위주 상승인 반면 기자재는 세진중공업을 제외한 업체들이 고른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향후 전망
- 보냉재: 동성화인텍(연초대비 +66%), 한국카본(+33%)의 LNG 호황 지속 전망
- 엔진: 한화엔진(+27%)은 서비스 및 친환경 엔진의 확장성 보유, 세진중공업(-8%)은 반등 기대
- 피팅: 급격한 주가 상승으로 부담이 있으나, LNG 모멘텀과 완만한 수주 성장 기대됨
시사점
Trump 행정부의 에너지 정책이 LNG 산업과 조선기자재 업체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보냉재, 엔진 부문의 실적 성장이 지속될 전망이며, 단기 실적보다는 우량 기자재 업체의 희소성에 주목해야 합니다.
반응형
'[조선주] [방산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9] 한화오션 : 상선 사이클 장기화와 성장 스토리 (2) | 2025.03.19 |
---|---|
[177] 한화에어로스페이스 K9 자주포에 이어 천무 수주까지 (0) | 2025.03.19 |
[172] 미 조선업 청문회와 CSIS의 'Ship Wars' 분석: 한국 조선업의 기회 (1) | 2025.03.18 |
[164] 방위산업 분석: 적정 멀티플 평가 및 유럽 재무장 영향 (3) | 2025.03.18 |
[163] 한국 방산업체의 유럽 재무장 시장 진출 기회 분석 (현대로템,한화에어로) (1)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