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주] [방산주]

[163] 한국 방산업체의 유럽 재무장 시장 진출 기회 분석 (현대로템,한화에어로)

by 정치, 사회, 방송, 연예 실시간 이슈 포스팅 2025. 3. 17.

한국 방산업체의 유럽 재무장 시장 진출 기회 분석

유럽 국가들의 방위비 지출 증가세와 더불어 한국 방산업체들의 유럽 시장 진출 기회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DB금융투자의 '주마가편(走馬加鞭)' 보고서는 이러한 시장 변화와 기회에 대해 상세히 분석했습니다. 오늘은 이 보고서의 핵심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유럽 방위시장의 확대 현황

2014년 크림반도 사태 이후 NATO 내 EU 국가들의 방산 시장은 연간 약 3.6%의 성장률을 보였으며,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에는 8.2%로 성장했습니다. 향후 NATO 국가들의 방위 예산이 GDP의 3.5%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방위시장은 향후 4년간 17.2%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기간 연성장률
2014년 크림반도 사태 이후 3.6%
2022년 러-우 전쟁 이후 8.2%
향후 4년 전망 (NATO 국가) 17.2%

한국 방산업체의 시장 기회

2025~2028년까지 유럽 방위시장의 규모는 약 2.4조 달러로 예상되며, 이 중 한국 방산업체들이 접근 가능한 시장 규모는 약 3,114억 달러(연간 778억 달러, 약 109조원)에 달합니다. 이는 한국의 방산 최대 수출액(135억 달러)의 약 5.8배에 해당하는 규모입니다.

구분 금액
2025~2028년 유럽 방위시장 총 규모 2.4조 달러
한국 방산업체 접근 가능 시장 3,114억 달러
연간 접근 가능 시장 778억 달러 (약 109조원)
한국 최대 방산 수출액 대비 약 5.8배

무기 수요와 공급 불균형

유럽의 자체 방산 생산 역량으로는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전차의 경우 생산량 대비 약 12.8배, 자주포/MLRS는 약 8.8배, 탄약은 연간 약 224만발의 초과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미 생산 라인을 갖춘 한국 방산업체의 납기 프리미엄은 더욱 부각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무기체계 수요/생산비율 비고
전차 12.8배 생산량 대비 초과수요
자주포/MLRS 8.8배 생산량 대비 초과수요
탄약 - 연간 약 224만발 초과수요

주요 방산업체 투자 추천

 

현대로템 (Top-Pick)

  • 폴란드, 루마니아, 중동 등을 비롯한 다수의 수주 모멘텀 보유
  • 2025~2027년 영업이익 CAGR +35% 전망
  • 목표주가: 148,000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자주포, MLRS, 탄약 등 다양한 재래식 무기 파이프라인 보유
  • 유럽 재무장 과정의 수혜주로 자리매김 전망
  • 실적 및 수주 동시 성장 기대
  • 목표주가: 880,000원

결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의 방위비 증가와 무기 공급 부족으로 인해 한국 방산업체들의 유럽 시장 진출 기회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생산 역량과 납기 측면에서 한국 업체들의 경쟁력이 부각되고 있으며, 향후 미국, 중동, 아시아 지역으로의 수주 파이프라인도 이어지고 있어 2025년에도 방산업의 호황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