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종목 분석] [국내, 미국]

[140] 카니발(CCL) 25년 1분기 실적 전망 및 투자 의견

by 정치, 사회, 방송, 연예 실시간 이슈 포스팅 2025. 3. 16.

 

카니발(CCL US) 2025년 1분기 실적 전망 및 투자 의견 분석

카니발 크루즈(Carnival Corporation, CCL US)는 3월 말(26일 예상) FY1Q25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으며, 매출액 57.4억 달러(+6.2% YoY)와 EBITDA 10.6억 달러(+21.6% YoY, EBITDA 마진 18.5%, +2.4%p YoY)의 견조한 실적이 전망됩니다. 카니발의 주요 투자 포인트와 전망을 검토해 보겠습니다.

핵심 투자 포인트

1. 견조한 실적 전망과 가이던스 상향 가능성

카니발은 크루즈 3사 중 유일하게 11월 결산 기업으로, FY2025 가이던스를 이미 Wave Season(1~3월) 이전에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2024년 말부터 2025년까지 크루즈 여행이 전년대비 높은 가격으로 역대 최대 예약률을 달성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1분기 실적 발표와 함께 가이던스 상향 가능성도 있습니다.

2. 부채 부담 완화 전략

카니발은 새로운 마케팅 전략과 함께 신규 선박 도입 일정을 크게 변경했습니다:

  • 2025년: 단 1척의 신규 크루즈선 인도 예정
  • 2026년: 신규 선박 인도 계획 없음
  • 2027년과 2028년: 각각 1척씩 추가 예정

이러한 전략은 크루즈 업종의 공급 부족 상황에서 높은 가격 정책을 유지하며 수익성을 개선하고, 동시에 자본 지출을 줄여 부채 부담을 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3. 향상된 재무 지표 전망

  • 2025년 레버리지(Net debt-to-EBITDA) 비율: 3.8배까지 축소 예상 (2023년 6.7배 → 2024년 4.3배)
  • 2026년까지 연평균 약 30억 달러의 현금흐름 창출 전망

밸류에이션 분석

카니발의 현재 12MF EV/EBITDA는 8.6배로, 아래 비교 요소보다 낮은 상태입니다:

  • 과거 공급 부족 국면(2013~2015년) 평균: 10.6배
  • 경쟁사(Royal Caribbean) 현재 밸류에이션: 12.2배

미국 조세 관련 우려 분석

최근 트럼프 재선 이후 미국의 조세 정책 변화와 관련된 우려가 있으나, 분석에 따르면 이러한 우려는 과도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1. 역사적 관점: 트럼프 1.0 시기에는 쿠바 관련 일부 사항을 제외하면 크루즈 업계에 큰 변화를 만들지 않았음
  2. 영향 규모: 추가 조세가 이루어지더라도 실질 세율 2% 수준으로 미미할 것으로 예상
  3. 업계 대비: 이미 수년간 언급되던 리스크로 업계는 이에 대한 대비가 충분히 되어 있음

주요 성장 및 수익성 개선 요인

  1. Celebration Key 개장: 2025년에 개장 예정인 전용 크루즈 목적지
  2. Megaship 중심 포트폴리오: 대형 선박 중심의 운영을 통한 규모의 경제 확보
  3. 공급 부족 국면 활용: 현재 업계 전반의 크루즈 선박 공급 부족 상황에서 높은 가격 정책 유지 가능

투자 의견

카니발(CCL US)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매수 의견이 유지됩니다:

  1. 부채 부담이 꾸준히 완화되고 있으며(FY2025 레버리지 비율 3.8배 전망)
  2.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고(EBITDA 마진 상승)
  3. 밸류에이션이 과거와 경쟁사 대비 여전히 저평가된 상태

최근 주가 조정은 오히려 매수 기회로 판단되며, 올해를 기점으로 리레이팅(re-rating)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주가 및 재무 정보 요약

  • 현재 주가: $23.5 (2025년 3월 5일 기준)
  • 시가총액: 305억 달러
  • 52주 최고/최저가: $28.7/$13.8
  • 주요 주주: Vanguard Group(10.1%), Arison Micky Meir(7.4%)

글로벌 크루즈 산업 전망

크루즈 여행 산업은 2024년 말부터 2025년까지 전년대비 높은 가격으로 역대 최대 예약률을 달성하고 있습니다. 카니발의 선박 공급 조절 전략은 업계 전반의 공급 부족 상황과 맞물려 가격 상승 및 수익성 개선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카니발(CCL US)에 대한 매수 의견을 유지하며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와 함께 가이던스 상향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