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종목 분석] [국내, 미국]

[76] Rocket Lab 로켓 랩 기업 분석 및 주가 전망

by 정치, 사회, 방송, 연예 실시간 이슈 포스팅 2025. 3. 1.
반응형

로켓랩(RKLB.US) - 스페이스X 따라가기

우주시대 개막에 보유해야 할 주식

 

회사 개요

로켓랩(Rocket Lab)은 2006년 뉴질랜드 엔지니어 출신 피터 백이 창업한 우주기업으로, 2021년 SPAC 합병을 통해 나스닥에 상장했습니다. 발사서비스와 우주선 설계 및 제작, 운영 역량을 바탕으로 향후 자체 군집위성 운영을 통해 우주 관련 데이터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합우주기업으로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영역

로켓랩의 사업은 크게 두 가지로 구성됩니다:

  1. 발사서비스(Launch): 다양한 지구 궤도와 행성 간 목적지에 탑재물을 배치하기 위한 궤도 로켓의 설계, 제조 및 발사
  2. 우주시스템(Space System): 우주선 및 하위 구성품 제작과 우주선 프로그램 관리 서비스, 우주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임무 운영 등

최근 실적 (3Q24 Review)

  • 매출: 1억500만달러 (+55.2% YoY)
  • 조정 EBITDA: -3,090만달러
  • 매출총이익률(GPM): 26.7%로 가이던스 상단과 시장 예상치 상회
  • 사업별 매출:
    • 발사서비스: 2,100만달러 (-1.5% YoY)
    • 우주시스템: 8,390만달러 (+81% YoY)
  • 3분기말 수주잔고: 10억4,800만달러 (+80% YoY, -1.7% QoQ)
    • 발사서비스: 3억2,640만달러 (+30% YoY)
    • 우주시스템: 7억2,120만달러 (+117% YoY)
  • 일렉트론 5,500만달러 신규 발사서비스 계약체결
  • 2025년 시험 발사 예정인 중형 발사체 뉴트론의 첫 발사서비스 계약 발표

주요 성장 동력

1. 일렉트론 & HASTE를 통한 발사서비스

  • 소형 발사체 일렉트론을 통해 민간 위성 운영사와 NASA, 국방부, 우주군 등에 발사서비스 제공
  • 2017년 시험 발사 성공 후 총 54회 발사를 통해 198개의 위성을 궤도에 배치
  • 2023년 기준 글로벌 3위, 미국 2위의 로켓 발사 횟수 기록
  • 93%의 발사 성공률과 고객 맞춤형 발사서비스로 경쟁력 확보
  • 계약에서 발사까지 10주만에 수행 가능한 신속성 보유

2. 수직통합적 우주시스템

  • 우주선 설계부터 제작, 조립, 테스트, 발사, 운영까지 포괄하는 End-to-end 솔루션 제공
  • M&A를 통한 제작 역량 강화:
    • 2020년 Sinclair Interplanetary (반응 휠&별 추적기)
    • 2021년 Advanced Solutions (소프트웨어)
    • 2021년 Planetary System (분리시스템)
    • 2022년 SolAero Technologies (우주용 태양전지)
  • 주요 계약:
    • 미 우주개발청(SDA)과 5억1,500만달러 규모의 18기 위성 설계 및 제작, 운영 계약 체결
    • NASA의 화성 탐사 미션 ESCAPADE용 우주선 생산
    • 바르다 스페이스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치료제 개발 및 지구 회수 성공

3. 중형 발사체 뉴트론(Neutron) 개발

  • 2021년 3월 중형 재사용 발사체 개발 계획 발표
  • 2025년 중반 첫 발사 예정
  • 탑재량 13,000kg, kg당 발사비용 5,000~5,500달러
  • 재사용을 통해 발사비용 절감
  • 군집위성 발사와 미국 국가 안보위성 발사로 영역 확대 기대
  • 2025년 1회, 2026년 3회, 2027년 5회 발사 목표

로켓 발사체 라인업 비교

구분 일렉트론 팰컨9 벌컨센토 아리안6 H3 뉴트론 뉴글렌 스타쉽
포지션 소형 중형 중형 중형 중형 중형 대형 대형
국가 뉴질랜드 미국 미국 유럽 일본 뉴질랜드 미국 미국
업체 로켓랩 스페이스X ULA Arian 미쓰비시 로켓랩 블루오리진 스페이스X
높이 18m 70m 61.1m 63m 63m 43m 98m 121m
지름 1.2m 3.7m 5.4m 5.4m 5.2m 7m 7m 9m
탑재중량 300kg 22.8톤 27.2톤 21.6톤 6.5톤 13톤 45톤 200톤
재사용 연구 연구 연구 연구
발사성공 - -

연간 로켓 발사 횟수 증가 추이

연도 2019 2020 2021 2023 2024F
발사 횟수 102 114 144 182 224

영업실적 추이 및 전망

(백만달러, %) 2022 2023 2024F 2025F 2026F
매출액 211 245 423 597 888
증가율 239.0 15.9 73.1 40.9 48.6
영업이익 (135) (178) (180) (134) (2.3)
영업이익률 (64.1) (72.7) (41.6) (22.0) (0.3)
순이익 (136) (183) (181) (138) (22)
EPS(달러) (0.29) (0.38) (0.38) (0.31) (0.04)

투자포인트

  1. 발사 수요 증가: 통신, 관측, 방산, 기후 등 다양한 목적의 저궤도 위성 발사 수요 급증
  2. 견고한 발사 성공률: 일렉트론 93%의 발사 성공률로 신뢰성 확보
  3. 2025년 뉴트론 발사: 중형 발사체 시장 진입으로 스페이스X의 팰컨9과 경쟁 가능
  4. 수직통합된 우주 서비스: 발사부터 위성 제작, 운영까지 종합 서비스 제공
  5. 미국 정부 계약: 국방부, NASA 등 미국 정부 기관과의 안정적인 계약 확보
  6. 데이터 서비스 기업으로 성장: 장기적으로 자체 군집위성 운영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 기업으로 발전 가능

주요 위성통신사의 위성 운영 목표

기업 목표위성수 현재운영중인위성수
스페이스X 42,000+ 6,000+
SSST(중국) 15,000 -
아마존 3,200 -
지스페이스 2,000+ -

투자 리스크

  • 뉴트론 발사 실패 또는 지연 가능성: 주가 급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 개발 비용 증가로 인한 자금난 우려
  • 2029년 만기 3억5,500만달러 규모의 전환사채 발행 (전환가격 5.13달러)

결론

로켓랩은 우주 시장 개막과 트럼프 2기 우주 상업화 추진 기대감으로 주가가 단기간에 급등했습니다. 그러나 우주 시장 개막 초기인 점과 실질적 수혜를 받을 수 있는 기업이 많지 않다는 점, 발사 수요 확대와 중형 발사체 뉴트론의 발사를 앞두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향후 성장에 대해 긍정적으로 판단됩니다. 발사체 시장과 우주 서비스 시장 모두에서 입지를 다지고 있는 로켓랩은 우주산업 성장의 수혜를 받을 수 있는 중요한 투자 대상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