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증시 시황 및 전망] [국내, 미국]

[289] 상호 관세 충격 역대 급락장 비교 및 주식 시장 반등 조건은?

by 실시간 유료 증권사 리포트 포스팅 2025. 4. 8.

트럼프 관세 정책이 촉발한 시장 불확실성

 

2025년 4월 초, 트럼프 전 대통령은 대중국을 포함한 주요국에 상호관세 조치를 발표했고, 이에 따라 글로벌 금융시장이 즉각 반응했습니다.

  • S&P500 지수는 10.5% 급락
  •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4%에 근접
  • 미국 무역정책 불확실성 지수는 사상 최고치 기록

이는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 우려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투자심리를 급격히 위축시킨 결과입니다.


 

역사적 사례와 비교한 현재 시장 낙폭

 

과거 주요 경제 위기와 비교해보면, 현재 시장의 낙폭은 중간 수준입니다.

구분 시기 최대낙폭 경기
침체여부
닷컴 버블 붕괴 2001년 -34.7% O
글로벌 금융위기 2008년 -52.6% O
미중 무역분쟁 2018년 -19.8% X
코로나 팬데믹 2020년 -33.9% O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2022년 -25.4% X
트럼프 관세발표 2025년 -20.0% 내외 진행 중

✅ 참고: 과거 2거래일간 10% 이상 급락한 경우, 평균적으로 30일 이내에 반등했던 패턴이 있음


 

본격 반등 조건: 정책 협상 + 내수 부양

 

1. 국가 간 협상 진행 여부

  • 중국: 미국산 제품에 34% 보복관세 부과 + 희토류 수출 통제
  • EU: 철강·알루미늄에 1차 대응, 자동차 포함한 2단계 대응 준비
  • 베트남, 일본, 한국 등: 관세 인하 조건으로 협상 의사 표시

주요국과의 협상이 진전될 경우, 관세 인하 기대 → 시장 반등의 핵심 변수

 

2. 미국·중국의 내수 부양 정책

  • 미국: 공화당 내 감세안 조속 통과 압력 증대. 감세법안 통과 시 경기 회복 기대
  • 중국: 4월 중앙정치국 회의에서 강력한 경기 부양책 발표 예상

 

국가별 대응 정리 (2025년 4월 6일 기준)

국가 상호관세율 대응스탠스 주요 대응
중국 34% 보복 美제품 관세 + 희토류 수출 통제
EU 20% 보복 예정 철강 1차 대응, 자동차 포함 2단계 준비
일본 24% 협상 내수 보조금 확대
한국 25% 협상 산업 대응 TF 구성
베트남 46% 협상 美관세 0% 인하 의사 전달
멕시코 미포함 협상 자국 내수 중심 대응책 발표
캐나다 미포함 보복 미국산 車에 25% 관세
대만 32% 협상 무관세 협상 의사 표명

 

투자 전략: 불확실성 속 분산 투자 필요

 

현재처럼 변동성이 높은 시기에는 정책 변화와 경기 대응 여력에 따라 국가별·업종별 차별화가 예상됩니다.

  • 미국: 빅테크, 방산, 헬스케어 중심의 분산 투자
  • 중국: 소비주, 반도체, AI, 첨단장비 등 기술 자립 테마 중심 접근

 

결론: 반등 시점은 정책 대응에 달렸다

 

1. 관세 완화 가능성: 협상이 관건

 

2025년 4월 초 발표된 미국발 상호관세 조치는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을 키운 핵심 요인입니다. 이에 따라 S&P500은 10.5% 급락하며 2022년 스태그플레이션 국면에 준하는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시장은 이미 일정 부분 관세 충격을 반영한 상태이며, 관세의 완화 혹은 협상 타결이 반등의 핵심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주요 협상 흐름

구분 대응 스탠스 세부 내용
중국 보복 미국산 제품에 34% 보복관세 + 희토류 수출 통제
EU 단계적 보복 철강 관세 대응 후, 상호관세는 조사 후 대응 예정
베트남, 일본, 한국 등 협상 지향 미국과 무역 협상 통한 관세 인하 시도

반등 조건 #1: 주요국과의 무역 협상 진전 + 트럼프의 관세 완화 움직임


 

2. 정치적 요인: 미국 감세법 통과 가능성

 

 

공화당 주도의 감세안 통과 여부도 글로벌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입니다.

현재 상·하원은 서로 다른 버전의 감세안을 통과시킨 상태이며, 상호관세 이후 공화당 의원들 사이에서 조속한 통과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는 인플레이션 완화와 경기 침체 방지를 위한 핵심 정책 카드로 해석됩니다.

 

예상정책 GDP 기여도
2017년 감세법 영구화 +1.1%
법인세 인하(15%) +0.3%
반면, 관세 부과 효과 -1.3%

반등 조건 #2: 감세안 통과 및 재정정책을 통한 경기 부양


 

3. 각국의 내수 부양책: 중국도 움직인다

 

중국 역시 4월 중 열릴 중앙정치국 회의에서 전면적 경기 대응책을 발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국과의 무역갈등이 구조화되는 가운데, 중국은 내수 중심의 성장 전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대응 방향

  • 정책 방향: 재정·통화·소비·증시 부양 종합 패키지
  • 산업 전략: 소비재, 반도체, AI, 고급 장비 등 기술 자립 테마 강화
  • 무역 구조 변화: 대미 의존도 축소, 교역 다변화 추진

반등 조건 #3: 중국 중심의 내수 및 기술 주도 성장전략 실행


 

결론: 지금은 반등을 준비할 타이밍

 

현재 글로벌 증시는 높은 변동성 국면에 있지만, 다음 조건들이 충족될 경우 본격적인 반등이 기대됩니다.

 

✅ 글로벌 증시 반등의 3가지 조건 요약


조건  설명
1. 무역 협상 진전 관세 완화 가능성 확대
2. 미국 감세안 통과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 및 경기 방어
3. 중국 내수 부양 정책 글로벌 수요 둔화 대응 및 성장성 확보

📌 불확실성 구간에서는 방산, 헬스케어, 빅테크 등 성장성과 방어력을 겸비한 업종 중심의 분산 투자가 유효합니다.

미국 국내 증시 바닥은 어디인가? 증시 바닥 분석 리포트 추가 보기 클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