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종목 분석] [국내, 미국]

[267] 미국 상호 관세 인상 발효, 화장품 OEM에 기회될까?

by 실시간 유료 증권사 리포트 포스팅 2025. 4. 3.

1. 미국 관세 인상, 화장품 업계에 미치는 영향

 

2025년 4월 2일(현지 기준), 미국은 한국산 수입 제품에 25% 상호관세를 부과하기로 공식 발표했습니다. 그동안 미국향 수출에 주력해온 국내 화장품 기업들에게 직간접적인 영향이 예상됩니다.

▶ 브랜드사에는 악재, OEM사에는 중립 또는 기회

  • 브랜드사: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B2B 비중을 확대할 수 있으나, 도매유통사 또한 관세 인상을 반영할 가능성 있음.
  • OEM사: 미국 내 생산 기반을 보유한 기업에게는 중장기적인 기회로 작용 가능.

2. 소비자 반응: 가격 인상에도 구매 수요는 유지 가능

관세 인상으로 인한 제품 가격 인상은 불가피하나, 다음과 같은 변수들이 작용할 수 있습니다:

  • 가성비 소비 트렌드 부상: 미국 경기 둔화 시 저가 화장품 소비 증가 가능.
  • 브랜드 로열티의 역할: 충성도 높은 브랜드일수록 가격 인상 수용도 높음.
  • 신제품 및 카테고리 확대: 한국 화장품은 신카테고리를 중심으로 미국 시장 내 점유율 확대 중.

3. 수출 동향: 미국·중국·유럽 등 주요 국가별 변화

[표] 기초 및 색조 화장품 수출액 변화 추이 (단위: 천 달러)

수출국가 2023 2024 2025E 증감률
미국 (기초) 90,000 95,000 100,000 +5.3%
미국 (색조) 7,000 8,200 9,000 +9.8%
중국 (기초) 310,000 320,000 330,000 +3.1%
중국 (색조) 45,000 48,000 50,000 +4.2%
유럽 (기초) 30,000 32,000 33,000 +3.1%
일본 (기초) 35,000 38,000 39,000 +2.6%

자료: 신한투자증권, TRASS 기준 재구성


4. 중장기 투자 포인트: 미국 생산법인 보유한 OEM사 주목

관세 인상 국면에서 주목할 기업은 미국 내 생산 기반을 갖춘 OEM 기업들입니다.

▶ 대표 OEM 기업 및 특징

기업명 미국
생산법인
비고
코스맥스 미국 현지 고객 기반 강화 중
한국콜마 미국·중국 양국 대응 전략 확보
코스메카코리아 현지화 제품 개발 역량 보유

이들 기업은 단기적 주가 조정 이후 재매수 기회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5. 향후 주가 및 산업 방향성

화장품 브랜드사의 주가는 단기적으로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OEM 중심의 생산전략을 강화한 기업들이 수혜를 볼 가능성이 높습니다.

투자 전략 요약

  • 브랜드사: 제품 가격 인상 및 할인율 정상화 여부에 따라 실적 차별화 예상
  • OEM사: 미국 현지 생산 확대 여부가 중장기 실적 결정

결론: 관세 리스크 속에서도 기회는 있다

미국 관세 인상은 화장품 업계에 리스크로 작용하지만, OEM 생산기반을 갖춘 기업들은 오히려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맞을 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 현지 생산법인을 보유한 코스맥스, 한국콜마, 코스메카코리아는 향후 재평가 받을 여지가 높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