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 [양자 컴퓨터] [반도체] [Tech]

[207] 반도체 산업 투자 전망: 4월 반등 가능성과 투자 전략

by 정치, 사회, 방송, 연예 실시간 이슈 포스팅 2025. 3. 28.

 

 

 

 

 

목차

  1. 서론
  2. 주요 이슈와 전망
  3. 반도체 시장 트렌드 분석
  4. 메모리 반도체 ASP 전망
  5. 주요 반도체 기업 투자 전략
  6. 결론

서론

반도체 산업은 현재 3월 매크로 이벤트 이후 4월 연기 전략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DAOL투자증권의 보고서에 따르면, 반도체 업종은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1H25 실적 국면하여 관련주에 5~6월은 업종의 급등 사이클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특히 소부장들이 상대적으로 주가의 밴드 중하단에 위치해 있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4월은 종목 확장이 유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요 이슈와 전망

단기적으로 주목할 포인트

다음과 같은 이슈들이 반도체 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단기적으로 우호했던 2월 소매판매: 미국에서의 예상치를 하회했음에도 시장은 모두 부정적 데이터가 긍정적이라 주요 4월에도 매크로 지표에 대한 평가는 필요하지만, 단기적으로 업종 모멘텀에 집중될 수 있는 환경
  • 3/11 자료를 통해 언급했듯, 중국 이공황(이머징) 관세 불확실성
  • 3분기 실수요 확대가 이어질 경우 단시일 예상과 달리 연간 수요 개선으로 ASP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
  • 레버리지 효과에 대한 첫 공식 화인 자리인 마이크론의 실적 발표(한국; 3/21)를 시작으로 2분기까지 주요 실적발표를 통해 예상보다 견조한 수요 동향 및 ASP 호조가 확인될 수 있는 환경

좋은 내용의 가득한 4월 vs 긍정의 5~6월

  • ASP 호조의 장기적 업황 내용들이 확인되며 종목 확장이 유효한 점
  • 소부장들의 Valuation 밴드의 하향 밴수의 실적 밴수 다각화(선구 고객, 신규 장비/소재/부품 등) 포인트에 주목

반도체 시장 트렌드 분석

마이크로 데이터포인트

다음은 마이크로 데이터포인트 주요 지표입니다:

구분 FY4Q24
(6-8월)
FY1Q25
(9-11월)
FY2Q25
(12-2월) 가이던스
대폭적 7.8 8.7 7.7 ~ 8.1
GPM 36% 39.5% 37.5 ~ 39.5%
EPS 1.18 1.79 1.33 ~ 1.53

DRAM ASP 변화율 추이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의 DRAM ASP 변화율 추이를 살펴보면:

  • SK하이닉스 DRAM: 3분기에는 실제 약 2%의 상승을 보이며 앞으로도 점진적 상승 가능성 전망
  • 삼성전자 DRAM: 1분기에 HBM 사업 축소 영향으로 큰 감소 후 2~3분기 점진적 회복 전망

메모리 반도체 ASP 전망

현재 메모리 반도체 가격은 다음과 같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1. DRAM 가격: 16Gb DDR5 현물가가 상승세를 보이며, 고정가도 점진적으로 상승 중
  2. NAND 가격: 64Gb MLC 현물가는 안정적이나, 고정가는 하락세에서 회복 중
  3. 중장기 전망: 3/31 공개되는 마이크론의 2025년 연간 가이던스가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주요 반도체 기업 투자 전략

반도체 대형주/소소형주 투자 추천

현재 투자 포지션 분석에 따른 추천 종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형주 종목 연초 대비
수익률(%)
25E
P/B
삼성전자 전자 8.3 1.0
SK하이닉스 반도체 18.5 1.4

 

소형주 종목 연초 대비
수익률(%)
25E
P/B
전자 윈인터라이즈 25.6 6.2
장비 에스티아이 22.6 6.2
장비 피에스케이 20.1 7.0
장비 테크윙 54.2 8.9
부품 엘비세미콘 21.7 13.3

투자 의견

현재 DAOL투자증권의 반도체 섹터 투자의견은 다음과 같습니다:

  • BUY: 83.4%
  • HOLD: 16.6%
  • SELL: 0.0%

결론

4월은 마이크론을 시작으로 주요 반도체 기업들의 실적 발표와 함께 산업 전반의 회복세가 확인될 중요한 시점입니다. 전반적으로 메모리 반도체 ASP 상승과 함께 2분기부터는 소부장 기업들의 수혜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NAND 시장보다는 DRAM 시장이 빠른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단기적으로는 업종 모멘텀에 집중하는 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키워드

반도체, 투자전략, 메모리반도체, DRAM, NAND, ASP,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소부장, 반도체장비, 2025년 전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