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커버드콜 ETF 2.0 시대의 주요 특징과 투자 전략
최근 인컴(Income) 투자의 한 축으로 커버드콜 ETF 시장이 크게 확장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지난해 커버드콜 ETF 운용자산이 $1,000억을 돌파했고, 국내에서도 2025년 1월 말 기준 36개 커버드콜 ETF의 순자산이 7.5조원에 달하며 2023년 말 대비 870%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성장세 속에서 커버드콜 ETF는 어떻게 진화하고 있을까요?
커버드콜 전략이란?
커버드콜 전략은 기초자산을 매수하는 동시에 콜옵션을 매도하는 파생 합성 전략입니다. 이 전략의 핵심은:
- 기초자산(주식이나 채권)을 보유하면서 해당 자산에 대한 콜옵션을 매도
- 콜옵션 매도로 얻는 프리미엄이 정기적인 인컴(배당) 수익의 원천
- 시장 상황에 따라 다양한 수익 구조 발생
커버드콜 ETF의 손익 구조
시장 상황 | 포트폴리오 손익 | 콜옵션 매도 | 전체 포트폴리오 |
하락장 | 포트폴리오 손실 | 프리미엄 이득 | 옵션 프리미엄 + 주가 하락분 |
횡보 (옵션 행사가격 이내) | 횡보 (수익 정체) | 프리미엄 이득 | 옵션 프리미엄 |
완만한 상승장 | 포트폴리오 수익 | 프리미엄 이득 | 옵션 프리미엄 + 주가 상승분 |
급등장 | 포트폴리오 수익 | 프리미엄 상회하는 손실 가능 | 옵션 손실가능 + 주가 상승분 |
커버드콜 ETF 2.0의 주요 특징
최근 등장한 차세대 커버드콜 ETF(2.0)는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1. 단기 옵션 활용을 통한 높은 프리미엄 수취 추구
- 데일리 옵션(0DTE): 매일 만기가 도래하는 옵션으로 높은 프리미엄 수취
- 위클리 옵션: 주 1회 또는 2회 만기가 도래하는 옵션으로 월간 옵션 대비 높은 프리미엄
- 2022년 이후 0DTE 옵션 시장이 급성장하며 2024년 SPX 옵션 거래량의 약 48%가 0DTE 옵션
2. 외가격 옵션(OTM) 및 옵션 매도 비중 조절을 통한 기초자산 상승 참여도 확대
- 외가격(OTM) 옵션: 행사가가 현재 기초자산 가격보다 높아 일정 부분 상승 시 시세차익 획득 가능
- 타겟 프리미엄: 목표 배당률을 달성하기 위해 옵션 매도 비중을 탄력적으로 조절(0~100%)
- 고정 매도 비율: 일정 비율(예: 10~30%)만 옵션 매도하여 기초자산 상승의 대부분 참여
3. 기초지수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한 시세차익 극대화
- 대표지수형: 나스닥100, S&P500 등 시장 대표 지수 활용
- 배당주형: 다우존스 등 고배당 주식 중심 포트폴리오
- 성장주형: 테크, AI, 반도체 등 성장성 높은 섹터 중심 포트폴리오
4. 실물 운용/현지 직접운용을 통한 비용 절감
- 당일 매매(옵션매도일=행사가결정일)로 시차에 따른 리스크 최소화
- 실물운용으로 합성비용(1~3.65%) 절감
국내 상장 커버드콜 ETF 시장 현황
국내 주식 커버드콜 ETF
- 주로 코스피200이나 고배당주를 기초자산으로 활용
- 월간/위클리 옵션 활용 (국내 주식에 대한 데일리 옵션은 아직 상장되지 않음)
- 비과세 혜택: 국내주식 매매차익과 국내 코스피200 옵션 프리미엄에 대해 비과세
미국 주식 커버드콜 ETF
- 미국 대표지수(S&P500, 나스닥100), 배당주, 성장주(테크, AI 등) 활용
- 월간/위클리/데일리 옵션 활용
- 당일만기 ATM/OTM 옵션 활용한 시세차익 극대화 전략 다수
채권 커버드콜 ETF
- 주로 미국 초장기국채(20년 이상) 기반
- 금리 하락 시 채권 가격 상승 기대
- 미국 국채 TLT 콜옵션 매도 프리미엄 활용한 고배당 추구
버퍼(Buffer) ETF: 커버드콜 이후의 다음 트렌드
커버드콜 ETF 시장이 확장되는 가운데, 다음 트렌드로 버퍼(Buffer) ETF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 일정 기간 동안 하락 방어(Buffer)와 상승 제한(Cap)이 약속된 '구조화' ETF
- 연간 기준 하락에 대해 5~100% 버퍼 제공 (상품에 따라 다름)
- 주로 풋 스프레드 전략(ATM 풋 매수 + OTM 풋 매도)과 OTM 콜 매도 조합으로 구성
- 은퇴 예정자, 단기 자금 계획이 있는 투자자, 안정적 투자 성향자에게 적합
결론: 커버드콜 ETF 투자 시 고려사항
커버드콜 ETF는 안정적인 인컴 수익을 추구하면서도 시장 상황에 따라 다양한 성과를 보일 수 있습니다:
- 시장 상황에 따른 적합성: 커버드콜 전략은 횡보장이나 완만한 상승장에서 가장 효과적이며, 급등장에서는 상대적으로 성과가 저조할 수 있음
- 상승 참여도와 인컴 간의 균형: 높은 인컴(ATM 옵션)과 상승 참여도(OTM 옵션/낮은 매도 비중) 사이의 균형 고려
- 기초자산의 중요성: 커버드콜 전략의 성과는 기초자산 성과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기초자산 선택에 주의
- 위험성 이해: ELS와 달리 주식 시장에서 거래되어 유동성이 높지만, 여전히 원금 손실 가능성 존재
커버드콜 ETF 2.0 시대에서는 투자자의 목표와 리스크 성향에 맞는 다양한 옵션이 제공되고 있어, 이를 활용한 포트폴리오 다각화가 가능해졌습니다.
반응형
'[상장리츠] 및 [고배당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4] KB 발해인프라 상장: 고배당주 투자 가이드 (1) | 2025.03.19 |
---|---|
[167] 상법 개정안 통과와 그 의미 : 주요 수혜주 (주주환원, 고배당주) (2) | 2025.03.19 |
[125] 미래에셋맵스리츠_안정적인 수익과 성장 전략 (2) | 2025.03.16 |
[126] 미래에셋글로벌리츠_미국 물류센터 투자의 미래 (1) | 2025.03.16 |
[155] 신한글로벌액티브리츠 2024년 4분기 실적발표 주요 내용 정리 (2) | 202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