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종목 분석] [국내, 미국]

[457] 유니드 분석: 래깅효과 본격화로 실적 모멘텀 강화

by 정치, 사회, 방송, 연예 실시간 이슈 포스팅 2025. 4. 24.

유니드 기업분석: 2025년 래깅효과 본격화로 실적 모멘텀 강화

유니드(014830.KS)는 2025년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는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특히 염화칼륨, 가성칼륨 등 칼륨계 제품의 수익성 회복과 함께 국내외 판가 인상 효과가 본격화되며 긍정적인 래깅효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신영증권은 이를 반영해 목표주가를 기존 11만원에서 12만원으로 상향하며 '매수' 의견을 유지했습니다.

 

1. 1분기 실적 요약: 어닝 서프라이즈

 
2025년 1분기 유니드의 연결 영업이익은 28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 전 분기 대비 무려 130% 증가하며 컨센서스를 28% 상회했습니다. 세부적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1Q25 실적 QoQ YoY
영업이익 287억 원 +130% +4%
국내화학 187억 원 +234% +10%
중국화학 92억 원 +124% -9%
  • 국내화학: 판매량 증가 + 해상운임 하락 → 판관비 절감
  • 중국화학: UHC 가동 본격화 + 판가 인상 효과

 

2. 2분기 및 연간 실적 전망: 본격적인 이익 레벨업

 
2분기 영업이익은 QoQ +53% 증가한 438억원이 예상됩니다. 연간 기준으로는 2025년 영업이익이 **1,338억원(+40% YoY)**으로 큰 폭 성장할 전망입니다.

연도 영업이익
(십억원)
순이익
(십억원)
EPS(원)
2024A 95 76 11,265
2025F 134 108 15,971
2026F 153 129 19,094
  • 래깅효과: 염화칼륨 가격 상승분이 판가에 반영되어 수익성 개선
  • 성수기 진입: 2분기부터 판매량 증가 예상
  • 비탄력적 수요: 미중 무역분쟁 시기에도 실적 유지, 관세 영향 제한적

 

3. 밸류에이션: 절대적 저평가 구간

 
2025년 기준 유니드의 예상 PER은 5.4배, PBR은 0.5배로, 업계 및 역사적 평균 대비 저평가된 수준입니다.

구분 현재주가 목표주가 상승여력
수치 86,800원 120,000원 +38%
  • 2025F 기준 BPS: 167,243원
  • Target PBR 0.7배 적용 시 적정주가: 120,000원

 

4. 시장 지위: 글로벌 가성칼륨 점유율 1위

 
유니드는 **전 세계 가성칼륨 시장 점유율 35%**로, 글로벌 1위 사업자입니다. 특히 미국향 수출 단가에서 높은 프리미엄을 확보하며 경쟁 우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유니드 35%
Occidental (미국) 15%
Olin (미국) 7%
Inovyn (유럽) 10%
청해염호 (중국) 8%

또한 유니드는 국내외 생산능력 확대를 통해 지속적인 매출 성장 여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5. 투자 포인트 요약

  • 1Q25 어닝 서프라이즈: 컨센서스 28% 상회
  • 2Q25~연간 실적 성장: 래깅효과 본격 반영
  • 미국 수출 확대 및 프리미엄 확보
  • 절대적 저평가 매력: PER 5.4배, PBR 0.5배
  • 전방산업 수요 비탄력성: 관세·무역 리스크에도 방어적 구조

유니드, 저평가 구간에서 기회 포착

 
유니드는 글로벌 가성칼륨 시장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바탕으로 2025년 큰 폭의 실적 성장이 예상됩니다. 실적 랠리 초입에 진입한 현 시점은 저평가 매수 전략이 유효한 구간으로, 목표주가 상향(12만원)은 그 정당성을 뒷받침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