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종목 분석] [국내, 미국]

[455] 씨메스 분석: AI 로봇 비전 기술의 숨은 강자

by 정치, 사회, 방송, 연예 실시간 이슈 포스팅 2025. 4. 24.
반응형

씨메스 기업 분석: AI 로봇 비전 기술의 숨은 강자

AI 기반 3D 비전 검사 및 로봇 제어 솔루션 기업 씨메스는 제조·물류 산업의 자동화 핵심 솔루션을 제공하며, 2024년 들어 국내외 주요 기업들과의 협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쿠팡과 LG디스플레이 등과의 거래를 통해 고난이도 로봇 가이던스 솔루션 공급 능력을 입증하며 산업 내 기술 리더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기업 개요 및 기술력

 

씨메스는 3D 비전 기반 소프트웨어를 로봇 하드웨어에 탑재하여 품질 검사, 로딩/언로딩, 팔레타이징 등 다양한 로봇 제어 업무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솔루션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 비전센서/인스펙션 기술: 고정밀 3차원 스캐너와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 활용
  • 로봇 가이던스 기술: 정밀한 위치 인식 및 제어 가능
  • 적용 산업: 자동차, 전기전자, 물류, 의류·신발

주요 고객사

  • 자동차: 현대기아차, 덴소, 보쉬
  • 전기전자: SKT, LG전자, LG이노텍
  • 물류: 쿠팡, CJ대한통운, 현대무벡스
  • 패션: 나이키, 창신INC 등

 

씨메스 주요 투자지표 및 실적 추이

 

구분 2022 2023 2024E
매출액(억원) 76 69 123
영업이익(억원) -100 -143 -
순이익(억원) -157 -135 -
ROE(%) -219.6 -28.8 -
PBR(배) 0.0 2.5 -
시가총액(2024.4.23 기준)      

※ 2024년 예상 실적은 SK증권 추정치 기준


 

핵심 투자 포인트

 

1. 쿠팡과의 전략적 파트너십

  • 쿠팡은 2024년 씨메스에 33억 원 투자, 1%대 지분 확보
  • 납품 확대 기대: 쿠팡의 물류센터 CFC 3곳에 솔루션 적용 중

2. 고난이도 기술력 입증

  • 글로벌 I사와 경쟁 후 현대차 글로벌 혁신센터 납품 선정
  • LG디스플레이 유리 합착 가이드 분야서 글로벌 C사 미진입 영역 선점

3. 높은 내수 기반

  • 2024년 기준 국내 매출 비중 95.6% 이상
  • 주요 고객사 대상 로봇 및 검사 솔루션 수주잔고 확대

 

사업 구조 및 세부 매출 구성

구분 2024년
납품 매출(억원)
수주잔고
(억원)
물류 솔루션 30 16
제조 솔루션 27 11
유지보수 4 1

솔루션 유형별 매출 비중 (2024년 기준)

  • 로봇 솔루션: 95.6%
  • 검사 솔루션: 99.1%

 

국가머신비전 기술 경쟁력 (미국=100 기준)

미국 100.0
유럽 86.8
일본 85.0
한국 74.7
중국 64.0

※ 출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SK증권

 

글로벌 경쟁사

 

  • Mujin, Covariant, Dexterity, Righthand, Mech Mind, Osaro
  • Osaro는 국내 시장에서 가장 직접적인 경쟁사

씨메스의 미래는?

씨메스는 높은 기술력을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군에 침투하고 있으며, 물류 자동화 및 스마트팩토리 확대라는 시대 흐름과 맞물려 구조적 성장이 기대됩니다. 다만, 아직 흑자 전환 전이라는 점과 함께 성장성과 수익성 간 균형 확보가 필요한 단계입니다. 향후 쿠팡, LG계열 등 주요 파트너와의 협업 확대 여부가 기업가치 상승의 관건이 될 것입니다.


주요 정보 요약


종목명 씨메스 (475400/KQ)
상장시장 KOSDAQ
주가 (2024.04.23) 26,600원
시가총액 3,088억 원
주요주주 이성호 외 5인(39.31%), SK텔레콤(6.58%)
발행주식수 1,161만주
적용 산업군 물류, 자동차, 전자, 의류 등
솔루션 구분 비전검사, 로봇 가이던스
리포트 작성일 2025년 4월 24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