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차 전지] [자율주행] [로봇]

[235] 테슬라(TSLA)의 트럼프 미국 수입차 관세 25% 영향 분석

by 실시간 유료 증권사 리포트 포스팅 2025. 3. 27.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수입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상황에서 테슬라(TSLA)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내용입니다. 테슬라는 미국 내 100% 생산 체제를 갖추고 있어 관세 영향이 제한적이며, 오히려 경쟁사 대비 반사 이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관세 조치의 영향

2025년 3월 26일(현지 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외국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으며, 이는 4월 2일부터 발효될 예정입니다. 이 조치는 테슬라보다 GM, Ford와 같은 레거시 자동차 제조업체에 더 큰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북미 생산 비중 비교

  • GM: 37% (멕시코/캐나다 생산)
  • Ford: 18% (멕시코/캐나다 생산)
  • 테슬라: 0% (100% 미국 생산)
  • 리비안: 0% (100% 미국 생산)

테슬라의 생산 구조

테슬라는 현재 멕시코에 생산 시설이 없으며, 관세 조치로 인해 모델2 생산 기지로 계획되었던 멕시코 기가팩토리 건설이 더욱 어려워질 가능성이 큽니다. 테슬라는 생산 능력 확장보다 기존 시설 활용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테슬라의 부품 조달 구조

테슬라는 미국에 판매되는 전기차의 배터리와 기가캐스트와 같은 단가가 높은 부품들을 미국에서 제조하고 있습니다. 다만 테슬라의 부품 단에서의 멕시코 노출도는 약 20~25% 수준으로, 여전히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부품을 조달하고 있습니다.

중국산 모델의 유럽 판매 영향

테슬라의 유럽 판매는 베를린 현지 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나, 중국에서 생산된 유럽 판매분에 대해서는 관세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지난 10월 EU 집행위는 반덤핑 조사를 통해 중국산 전기차에 최대 35.3%p 상계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중국산 전기차 일반 관세: 10%
  • 중국산 전기차 최대 상계관세: 35.3%p
  • 중국산 전기차 총 관세율: 최대 45.3%
  • 테슬라에 적용되는 관세율: 17.8% (7.8%의 낮은 관세율 적용)

관세 부과 시 경쟁사 대비 이점

테슬라의 미국 생산 비중이 100%인 점은 경쟁사 대비 반사이익을 얻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수입차에 대한 25% 관세가 적용된다면, GM과 Ford에 예상되는 관세 부과 금액은 각각 71.6억 달러, 27.4억 달러로, 자동차부문 EBIT의 57%, 38%에 해당합니다.

테슬라 모델별 부품 공급 지역 비중

모델 미국/캐나다 (%) 멕시코  (%)
Cybertruck 65 25
Model 3 Long Range AWD 75 20
Model 3 Long Range RWD 75 20
Model 3 Performance 70 20
Model S 65 20
Model X 60 25
Model Y Long Range AWD 70 25
Model Y Long Range RWD 70 25
Model Y Performance 70 20

테슬라의 생산능력 현황

지역 모델 생산능력(대) 상태
캘리포니아 모델 S/X 100,000 생산중
캘리포니아 모델 3/Y >550,000 생산중
상하이 모델 3/Y >950,000 생산중
베를린 모델 Y >375,000 생산중
텍사스 모델 Y >250,000 생산중
텍사스 사이버트럭 >125,000 생산중
텍사스 사이버캡 - 개발중
네바다 테슬라 세미 - 파일럿 생산 중
미정 로드스터 - 개발중

향후 전망

테슬라의 모델 Y 주니퍼가 2월 말에 인도가 시작됨에 따라 3월부터 판매량 회복이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2025년 2분기부터 신차 효과가 온전히 반영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향후 주가 촉매제로는 2025년 하반기부터 본격화될 본업 실적 개선과 6월에 텍사스에서 선보일 비감독형 FSD의 서비스 개시로 인한 로보택시 사업의 가시화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테슬라 투자 의견

한국투자증권은 테슬라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미국 수입차 관세 영향이 제한적인 점, 100% 미국 생산으로 인한 경쟁사 대비 반사이익 기대, 모델 Y 주니퍼의 판매 회복 기대감, 로보택시 사업의 가시화 등이 테슬라의 투자 포인트로 꼽힙니다.

주요 재무 지표

  • 2024년 예상 매출액: 976.9억 달러
  • 2024년 예상 영업이익: 77.6억 달러 (영업이익률 7.9%)
  • 2024년 예상 순이익: 70.9억 달러 (순이익률 7.3%)
  • 현재 주가(2025년 3월 26일): 272.1달러
  • PER(2024년 기준): 184.0배
  • 시가총액: 8,751억 달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