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원넥스뷰는 초정밀 레이저 마이크로 접합 장비 전문 기업으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 내 핵심 공정 기술을 공급하고 있는 강소기업입니다. 2024년 코스닥 상장을 완료하며 사업 확장 기반을 다졌고, AI 반도체 수요 증가 및 첨단 패키징 시장 성장에 따른 수혜가 예상됩니다.
1. 기업 개요
기업명 | (주)다원넥스뷰 |
설립일 | 2009년 11월 20일 |
본사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
대표이사 | 남기중 |
사업영역 | 레이저 접합 장비 (반도체/디스플레이) |
직원수 | 65명 (2024년 기준) |
상장 | 2024년 코스닥 상장 완료 |
홈페이지 | www.nexview.co.kr |
다원넥스뷰는 반도체 테스트 및 패키징 공정 장비에서 탁월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최초/국내 최초 기술들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2. 주요 사업 영역
반도체 공정용 레이저 마이크로 본딩 장비
- pLSMB : 메모리 웨이퍼 테스트용 초정밀 접합 장비
- sLSMB : 고부가가치 패키징용 마이크로 솔더볼 범핑 장비
- dLSMB : 디스플레이·마이크로 LED 리페어 솔루션
기술적 강점
기술요소 | 주요스펙 |
절대 정밀도 | ±1.5μm |
솔더볼 직경 | 최소 40μm |
탐침 최소 두께 | 30μm |
빔 조형 광학, 정밀 메카트로닉스, 3D 머신비전 기술 기반 |
3. 신성장 동력
다원넥스뷰는 기존 반도체 분야 외에도 차세대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LED,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등으로 제품군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 dLSMB : FMM 리페어 및 Micro LED 공정 대응
- UTG 가공 장비 : 폴더블 디스플레이 시장 진입
- Laser Scribing : 차세대 태양전지용 정밀 가공 장비
4. 시장 성장성과 수요 확대
글로벌 시장 동향
구분 | 2022 | 2029~30 (E) | CAGR |
FC-BGA 시장 | 80억 달러 | 164억 달러 (2030E) | 9.4% |
HBM 시장 | 392억 달러 | 695억 달러 (2029E) | 10.0% |
첨단 패키징 | 27억 달러 | 377억 달러 (2029E) | 45.7% |
- AI 반도체 수요 증가 → FC-BGA 및 HBM 패키징 수요 확대
- 첨단 패키징 비중 증가 → LSMB 장비 수요도 동반 확대
- 삼성전기 등 주요 고객사 확보 전략 진행 중
5. 실적 요약 및 재무 성과
연간 매출 추이 (2021~2024)
연도 | 매출액(억원) | 성장률 |
2021 | 126 | - |
2022 | 110 | ▼13% |
2023 | 107 | ▼3% |
2024 | 187 | ▲76% |
부문별 매출 (2024)
품목 | 매출액(백만원) | 비중(%) |
pLSMB | 12,147 | 65.0 |
sLSMB | 2,810 | 15.0 |
dLSMB | 2,447 | 13.1 |
기타 | 1,298 | 6.9 |
손익 요약 (2024)
- 매출총이익률: 25.7%
- 영업이익: 12.8억 원 (흑자전환)
- 당기순손익: △40.9억 원 (일회성 비용 제외 시 약 24억 원 순이익)
6. 글로벌 진출 확대 전략
중국 | 국영기업과 협력, 현지화 전략 전개 |
일본 | CMOS 이미지 센서 테스트 장비 납품 예정 |
베트남 | S사 공장에 FC-BGA 검사장비 납품 |
대만 | 미국 DRAM 제조사의 생산기지 진출 대응 |
태국 | 글로벌 AI ODM 기업 대상 수주 |
- 2024년 수출 비중: 35.2%
- 글로벌 빅테크 및 메모리 기업 고객사 확보 확대 중
7. 투자 포인트 요약
- AI 및 반도체 고도화 흐름에 맞춘 장비 포트폴리오
- 세계 최고 수준의 정밀 레이저 본딩 기술 보유
- 2024년 흑자전환 및 매출 급증으로 실적 개선세
- 글로벌 수출 확대 및 첨단 디스플레이 장비 수요 기대
- 국내외 주요 반도체·디스플레이 업체들과 활발한 거래 진행
결론
다원넥스뷰는 반도체 테스트 및 패키징 공정의 핵심 기술을 보유한 레이저 접합 장비 전문 기업으로, AI 반도체·HBM·첨단 패키징 시장의 고성장을 발판으로 중장기적 성장이 기대됩니다.
기술력, 실적, 글로벌 확장성 삼박자를 갖춘 기업으로서 앞으로의 실적 모멘텀과 시장 확장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
'[AI] [양자 컴퓨터] [반도체] [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314] 엠로 : 글로벌 B2B 소프트웨어 기업을 향한 도전 (1) | 2025.04.10 |
---|---|
[296] 미코, HBM 시대의 핵심 수혜주로 부각 (0) | 2025.04.09 |
[251] 덕산네오룩스 주가 저점, 지금이 비중 확대 기회? (2) | 2025.04.01 |
[209] 2025년 AI 소프트웨어 투자 전략 완벽 분석 (미국 상장사 중심) (1) | 2025.03.29 |
[207] 반도체 산업 투자 전망: 4월 반등 가능성과 투자 전략 (0)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