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정부, 2024년 8월과 다른 점 - 리세션 공포 속 시장 전망
2025년 3월 경제 시장 분석 및 투자 인사이트
목차
트럼프, 리세션의 야단 전환기(period of transition)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Fox News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으로 부를 되돌리려면 시간과 조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면서 경제적 어려움보다는 '전환기(period of transition)'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스칸 베이트 세무부 장관은 정책 공공 부문에서 민간 부문 주도 성장으로 전환(Re-privatize)되면서 '해독 기간(detox period)'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시장은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경기 둔화 및 정책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 등으로 중심의 하방 위험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S&P500과 나스닥 지수는 올해 고점 대비 각각 8.6%, 12.9% 하락하며 2023년 10월 말 이후 처음으로 중가상 200일 이동평균선을 하회하는 등 기술적 약세 흐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중시 흐름은 2024년 7-8월 발생한 중시 조정과 비슷한 듯 하지만 차이점이 있습니다.
공통점: 경기침체 우려
지난해 8월과 현재 발생 중인 중시 조정은 '경기침체 우려'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원인은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해 8월의 경우 고용시장 약화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 확산이었으며, 최근에는 트럼프 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한 실물 경제의 둔화 우려가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샘의 법칙(Sham's Rule) 충족
지난해 6월 초 발표된 7월 실업률이 **4.3%**를 기록하며 샘의 법칙(Sham's Rule)이 0.43%에서 0.53%로 올라 경기침체를 판단하는 일계선인 0.5%p를 상회했습니다.
샘의 법칙이란? 최근 실업률의 3개월 이동 평균이 지난 1년 동안 가장 낮은 3개월 이동 평균을 0.5%p 이상 초과할 때, 미국 경제가 경기 침체의 초기 단계에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미국 경제 전망 악화
트럼프 정부의 'MAGA(Make America Great Again)' 정책은 불확실성을 확대시켜 기업, 가계 등 경제주체들의 투자심리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특히, 관세 정책은 미국의 우역 불확실성을 확대시킬 뿐 아니라 동시에 GDP 성장에 기여하는 순수출의 급감으로 이어져 **1분기 GDP 성장률 -2.4%**를 기록하는 등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졌습니다.
주요 지표 비교: 2024년 7-8월 vs. 2025년 2-3월
지수 | 2024년 7-8월 하락률 | 2025년 2-3월 하락률 |
다우 | -6.1% | -6.6% |
S&P500 | -8.5% | -8.6% |
나스닥 | -13.1% | -12.9% |
러셀2000 | -10.1% | -12.8% |
차이점: 풋(Put) 기대감과 관세
지난해 중반 이후 피벗 의장을 바꾼 연준 위원들은 이구동성으로 추가 금리인하의 전제조건으로 '고용시장 악화'를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그들의 전망대로 고용시장 악화가 나타나는 데이터를 확인한 추안 24년 9월 FOMC 회의에서 시장 예상과 달리 '빅 컷(50bp)' 인하를 단행하며 시장에 안도감을 준 바가 있습니다. 이른 바 '파월 풋(Powell Put)'의 효과를 봄.
최근 중시 조정 과정에서도 시장은 '트럼프 풋(Trump Put)'에 대한 기대를 하기도 했었음. '트럼프 풋'은 트럼프 대통령이 주식 시장의 큰 폭락을 막기 위한 정책을 시행할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를 말하며, 중시의 성과를 자신의 정책 성공의 척도로 보고 있음. 그러나 최근 연준 인터뷰에서도 밝혔듯이 미국의 장기적 이익을 위한 단기적 고통은 필요한 과정으로 보면서 그 기대감은 소폭 약화됨.
트럼프 정부의 관세 부과 현황
대상 | 날짜 | 수입규모 | 관세율 |
캐나다 | 반포 2월 1일 예정 2월 4일 유예 4월 2일(이전 3월 4일) |
에너지 $120B 비에너지 $232B |
에너지 10% 비에너지 25% |
멕시코 | 반포 2월 1일 예정 2월 4일 유예 4월 2일(이전 3월 4일) |
$504B | 25% |
중국 | 반포 2월 1일 현보 2월 4일 추가 3월 4일 |
$430B | 10%+10% |
EU | 반포 2월 26일 | $598B | 25% |
투자전략: 리세션 우려는 과도, 분산투자 필수
지난해 8월과 동일하게 현 시점에서 리세션 우려는 조금 과도하다고 판단됨. 최근 나타난 중시 조정에서 편의멘털과 모멘텀이 견고한 기업 또는 테마에 대해서는 기회 관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AI 투자 전략
중국 중시는 지난해 9월 급등을 조정세를 보이다가 DeepSeek 출현 이후 IT 섹터를 중심으로 급등세를 보이고 있음. AI 분만 아니라 자율주행, 휴머노이드 로봇 등 관련 섹터 주요 기업들 주가 상승세가 긍정적입니다.
미국 AI 대비 솔루션을 확화하기 위한 투자 대안으로는 미국 자가 소비재와 반도체 및 인프라를 꼽을 수 있습니다. 또한, 방산과 인프라 테마도 추천합니다.
채권 투자 전략
마지막으로 연준의 정책 변화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연준은 현재 4.25~4.50%로 제한적 통화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반면, 유료존은 지난해 5월 이후 6차례(185bp)나 금리를 인하하며 미국 대비 상대적으로 완화적 통화정책으로 전환하였습니다.
'[증시 시황 및 전망] [국내, 미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5] FOMC 회의 결과 분석: 당장의 변화보다 정책 여력 강조 (2025년 3월) (0) | 2025.03.20 |
---|---|
[191] 기우는 달러와 차오르는 유로화, 나홀로 표류하는 원화 (1) | 2025.03.20 |
[159] 2025년 3월 시장 동향: 바닥인가 싶을 땐 연기금을 보자 (6) | 2025.03.17 |
[139] 유럽 주식시장 강세의 본질과 전략적 투자 접근법 (1) | 2025.03.17 |
[162] 금 가격, 3,000달러 앞에 서다: 장기 랠리의 시작 (2) | 2025.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