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국 관세 부과 현황 및 영향
-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산 제품에 최대 30% 관세 부과
- 제이에스코퍼레이션은 핸드백 판가가 원가 대비 약 5배 수준으로, 관세 30% 부과 시 미국 내 소비자 가격은 약 6% 상승 예상
- 하지만 해당 제품은 필수 소비재 성격이 강하고, 저가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 수요 위축 우려는 크지 않음
2. 생산기지 분포 및 관세 회피 전략
제이에스코퍼레이션의 2024년 말 기준 생산기지 비중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베트남 | 캄보디아 | 인도네시아 | 과테말라 |
핸드백 | 29% | 28% | 43% | - |
의류 | 41% | 28% | 30% | 1% |
- 동남아 3국은 **미국으로부터 상호관세(베트남 46%, 캄보디아 49%, 인도네시아 32%)**를 부과받고 있어, 수출 시 가격 경쟁력에 악영향 가능성
- 이에 따라 2025년까지 과테말라 생산능력을 1,100% 확대하는 계획 진행 중
- 과테말라 의류 생산: 10만 개 → 120만 개로 급증 예정
3. 중남미 증설의 기대 효과
- 중남미(과테말라)는 일반 관세만 부과돼 상대적으로 가격 경쟁력 우위 확보 가능
- 의류 숙련공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어 빠른 생산 안정화(램프업) 기대
- 향후 중남미 중심 추가 CapEx가 관세 회피 전략의 핵심축으로 작용할 전망
4. 관세 반영 후 실적 영향은?
구분 | 1Q24 | 1Q25 | YoY |
매출액(십억원) | 2,074 | 2,611 | +25.9% |
영업이익(십억원) | 193 | 241 | +25.0% |
핸드백 매출 성장률 | - | +6% | - |
의류 매출 성장률 | - | +15% | - |
- 관세 이슈가 반영된 2025년 1분기 실적도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성장 유지
- 특히 핸드백 6%, 의류 15% 매출 성장으로 관세 리스크 방어 입증
5. 결론: 관세 위기를 기회로 바꾼 글로벌 OEM 전략
제이에스코퍼레이션은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라는 위기 속에서도 과감한 생산기지 다변화 전략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관세가 낮은 지역으로의 이전은 장기적으로 원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입니다. **저평가된 주가(2025F PER 2.9배)**와 함께 7%대 배당수익률을 제공하고 있어, 관세 리스크를 기회로 삼을 수 있는 대표 OEM 종목으로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
'[주식 종목 분석] [국내, 미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292] 현대지에프홀딩스, 배당 확대와 자사주 소각으로 주주환원 본격 강화 (1) | 2025.04.08 |
---|---|
[284] 코스맥스, 관세 영향과 글로벌 생산 전략 (2) | 2025.04.07 |
[281] 크래프톤 주가, 신작 ‘인조이’로 공모가 회복 가능할까 (3) | 2025.04.07 |
[280] 실리콘투 미국 상호 관세 관련, 발란 투자, 올리브영 관련 내용 업데이트 (1) | 2025.04.06 |
[273] 유통업 전망_탄핵에 따른 조기 대선 효과와 백화점 중심 수혜에 주목 (2)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