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바이오] [의료기기]

[483] 보령 실적 전망 카나브패밀리, 케이캡, 당뇨 치료제

실시간 유료 증권사 리포트 포스팅 2025. 4. 26. 13:18

 

 

 

 

 


보령(003850) 2025년 실적 전망 및 투자 포인트 분석

 

1. 2024년 실적 리뷰: 매출 1조원 돌파, 그러나 수익성은 아쉬움

  • 2024년 연결 매출은 전년 대비 18.3% 증가1조 171억원을 기록하며, 기대했던 매출 1조원을 초과 달성했습니다.
  • 그러나 영업이익705억원으로 3.2% 증가하는 데 그쳐, 수익성 개선은 기대에 못 미쳤습니다.
    • 원인: 케이캡 상품 매출 증가로 원가율 상승, 의료 파업 사태 등의 영향.
구분 2023년 2024년
매출액(십억원) 860 1,017
영업이익(십억원) 68 70
순이익(십억원) 40 70
EPS(원) 585 802
ROE(%) 7.6% 10.4%

(자료: 상상인증권, K-IFRS 연결기준)

 

2. 주요 사업 부문별 이슈 및 전략

 

(1) 카나브패밀리 매출 감소

  • 2024년 카나브패밀리 매출1,509억원으로 전년 대비 2.8% 감소했습니다.
  • 원인: 2024년 4분기 HK이노엔향 초도 물량 일괄 출고에 따른 기저효과.
  • 2025년 이슈:
    • 카나브 단일제듀카브 복합제가격 인하 과제가 존재합니다.
    • 법적 대응을 통해 가격 인하가 2026년으로 이연될 가능성도 존재.

(2) 케이캡 상품 매출 급성장

  • 2024년 케이캡 매출은 상반기 720억원, 하반기 더 증가해 연간 1,620억원 추정.
  • 2025년 케이캡 매출18% 성장하여 1,912억원 전망.
  • 보령의 외형 성장을 견인하지만, 수익성 기여는 제한적.

(3) 당뇨 치료제 트루리시티 계약 종료

  • 트루리시티 매출은 2024년 공급 부족으로 마이너스 성장하다가, 2025년 계약 종료.
  • 향후 공백은 **제네릭 제품(포시가 제네릭 SGLT-2 등)**으로 메워질 예정.
  • 항암제(젬자, 알림타)와 바이오시밀러(온베브지) 매출 성장도 기대.

 

3. 2025년 실적 전망: 매출 방어에 집중

 

  • 2025년 연결 매출10,393억원으로 전년 대비 2.2% 증가 전망.
  • 영업이익747억원으로 6.0% 증가 예상.
  • 주요 이슈:
    • 카나브 가격 인하 가능성(다만 지연 가능성 높음)
    • 트루리시티 매출 소멸
    • 매출 방어 전략 필요
구분  2024 2025E
매출액(십억원) 1,017 1,039
영업이익(십억원) 70 75
순이익(십억원) 70 55
EPS(원) 802 655
ROE(%) 10.4% 6.9%
배당수익률(%) 1.0% 1.2%

(자료: 상상인증권)

 

4. 주가 흐름 및 목표주가 변경

 

  • 2024년 3월 케이캡 계약 소식으로 13,000원대까지 상승했으나,
  • 의료파업, 수익성 개선 지연, 국내 제약주 약세 등으로 현재는 8,000원대 등락 중.
  • 상상인증권은 목표주가를 17,000원 → 12,000원으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 투자의견은 '매수(BUY)' 유지.
  • 적정주가 산정 기준:
    • Forward PER 18배
    • 적정주가 11,793원 도출

 

5. 향후 투자 포인트

 

  • 케이캡 매출 성장 지속: 국내 판매 외에도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성 주목.
  • 신제품 및 제네릭 매출 확장: 당뇨, 항암제 등 신성장동력 확보.
  • 수익성 개선 전략: 고마진 품목 비중 확대가 중장기 과제.

 

6. 종합: 긴 호흡으로 접근 필요

 

  • 보령은 2025년 매출성장 둔화 구간에 진입하겠지만,
  • 구조적으로는 안정적 성장성과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을 바탕으로 장기 관점에서 긍정적.
  • 단기 리스크(카나브 가격인하, 트루리시티 매출 소멸)를 감안하되,
    중장기 성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투자 포인트 

보령은 단기적으로 일부 리스크 요인이 존재하지만,
케이캡 매출 성장, 신제품 확대 전략, 해외 진출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중장기적으로 매력적인 투자처로 평가됩니다.
현 주가 레벨에서는 장기 투자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