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 신청 영향과 산업별 시사점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하향에 따라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사건은 부동산, 유통, 금융 업계에 다양한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글에서는 최근 삼성증권에서 발표한 분석 보고서를 바탕으로 홈플러스 기업회생 신청의 배경과 각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 신청 배경
2025년 3월 4일, 홈플러스는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습니다. 이는 한국신용평가가 홈플러스의 신용등급을 A3-로 하향조정함에 따라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운전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예상했기 때문입니다. 선제적인 요청으로 회생절차 개시가 가능해지면 채권자들과 빠른 조정을 통해 회생 계획을 수행할 예정입니다.
리츠(REITs) 산업에 미치는 영향
직접적 영향: 신한서부티엔디리츠
신한서부티엔디리츠는 최근 호텔 특화 리츠로 전환 중이었으나, 홈플러스가 편입 자산인 인천 스퀘어원 연면적의 28%를 차지하는 주요 임차인입니다.
구분 | 내용 |
선납 임대료 | 120억원(월 임대료 5억원) |
단기 영향 | 2년간 영향 미미(선납 임대료로 인해) |
극단적 상황 시 | 배당 영향 10.2%로 환산됨 |
대응 가능성 | 서부티엔디가 마스터리스할 가능성 높음 |
신한서부티엔디의 2025년 가중평균 금리는 사측 예상치보다 40bp 낮은 4.7%로 하락했고, 호텔 성과가 개선세를 보이고 있어 배당 감소가 발생하더라도 그 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간접적 영향: 롯데리츠
홈플러스의 상당수 매장이 폐점될 가능성이 높아, 타 리테일러들의 마트가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롯데리츠에 편입된 8개 마트는 모두 롯데쇼핑 내 상위 매출 점포들입니다.
현황 | 내용 |
포트폴리오 전환 | L7강남, 호텔롯데 등 다양한 자산 편입 중 |
조달금리 | 2023년 금리 고점 이후 급락 |
배당수익률 전망 | 2028년까지 연평균 50~100bp 상승 전망 |
리테일 부동산 시장 영향
홈플러스는 국내 리테일 자산 거래에서 지난 20년간 평균 27%의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그러나 2020년 이후 마트 부동산 거래는 급감했고, 재개발 목적의 제한적인 거래만 이루어졌습니다.
시잔 전망 | 내용 |
단기 영향 | 리테일 부동산 거래와 가치 산정에 어려움 예상 |
장기 참고사례 | 미국은 2010년대부터 리테일 부동산 구조조정 경험 |
미국 시장 현황 | 2025년 리테일 자산 공급 거의 전무, 공실률 최저 |
국내 전망 | 미국과 유사한 궤적 예상 |
금융권 영향
메리츠금융지주가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홈플러스의 차입금 1.4조원 중 메리츠 계열사 익스포저는 1.2조원으로 전체의 82%를 차지합니다.
메리츠 계열사 | 익스포저 금액 |
증권 | 6,550억원 |
화재 | 2,800억원 |
캐피탈 | 2,800억원 |
합계 | 1.2조원 |
2024년 5월, 홈플러스는 메리츠와 인수금융 차환을 목적으로 대출을 실행했으며, 이 대출은 홈플러스 점포(신탁)를 담보로 하고 있습니다. 담보 자산의 가치는 4~5조원으로 자금 회수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되나, 향후 담보권 실행 이후 자산 처분 과정이 중요한 관건이 될 것입니다.
결론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 신청은 단기적으로 관련 산업 센티멘트를 약화시킬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국내 리테일 산업의 구조조정과 효율화를 앞당기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미국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구조조정 이후 리테일 부동산 시장이 안정화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기업회생 절차의 진행 상황과 자산 처리 방식이 향후 시장에 중요한 시그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홈플러스의 사례를 통해 국내 유통업계는 온라인 쇼핑 확대와 소비 패턴 변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전략을 모색해야 함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오프라인 매장의 효율적 운영과 부동산 자산의 가치 극대화가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상장리츠] 및 [고배당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2] 한화리츠 : 주가 저점 통과 중, 배당률 매력적 (2) | 2025.03.13 |
---|---|
[153] 삼성FN리츠 : 스폰서의 명성에 안정성을 더하다 (2) | 2025.03.13 |
[127] 마스턴프리미어리츠 투자 간담회 분석 (0) | 2025.03.13 |
[117] 2025년 4월 ETF 투자 전략_빅테크보다 고배당주 ETF (2) | 2025.03.13 |
[145] 서울보증보험 : 배당왕의 투자 가치 분석 (2) | 2025.03.12 |